경제·금융

7·26 재보선 '성북을' 결과따라 정국 요동

한나라 1곳만 패해도 지도부 책임론 불가피<br>與 전패·민주 1곳 승리 땐 김근태 타격 클 듯

서울 성북을 등 4곳에서 치러지는 재보궐 선거를 하루 앞둔 25일 서울 성북구 한 초등학교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기표소를 설치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여야 지도부가 7ㆍ26 재보선을 하루 앞둔 25일 최대 격전지 서울 성북을 선거구에서 총력전을 벌였다. 이곳 승패가 앞으로 정국 흐름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현 시점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한나라당이 성북을 선거구를 포함해 재보선 4곳 모두 ‘싹쓸이’하는 구도다. 이 경우 파장은 가장 작을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민심이 그대로 반영됐다고 볼 수 있고 한나라당의 재보선 강세가 그대로 이어졌다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수영 한나라당 후보와 조순형 민주당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인 성북을 선거구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후폭풍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에서는 ‘다 이긴 선거를 졌다’는 책임론이 불거져 강재섭 대표의 지도력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박근혜-이명박 등 양대 대선주자들의 갈등이 노골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민주당은 탄핵 주도세력인 조 후보가 화려하게 재기하면서 줄기차게 주장해 온 정계 개편론 등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열린우리당은 4:0으로 한나라당이 승리할 경우와 한나라당이 3곳ㆍ민주당이 1곳을 가져갈 경우 모두 주도권을 놓치고 더욱 궁지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 김근태 의장의 위상도 크게 흔들릴 수 있다. 때문에 여야 지도부는 이날 서울 성북을을 중심으로 집중 지원에 나섰다. 한나라당 강 대표는 처음으로 성북을 지원유세에 나서 “뼈를 깎는 노력으로 도덕성을 회복해 국민과 함께 호흡하는 정당으로 거듭나겠다”고 호소했다. 민주당은 이날 성북구 모 음식점에서 의원총회를 개최하는 등 말 그대로 성북을 지역에 ‘올인’했다. 열린우리당도 김근태 의장과 김한길 원내대표 등 지도부를 내세워 성북을과 부천소사를 집중 공략했다. 한편 경기 부천소사 지역은 김만수 열린우리당 후보의 추격 속에 차명진 한나라당 후보가 우세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송파갑과 경남 마산갑은 한나라당의 승리가 유력한 분위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