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가총액 상위종목 '지각변동'

■ 주가 1,500 돌파…화려한 종목장세 <br>조선·기계업종등 중대형주 약진 두드러져<br>유통·식음료·제약·일부 IT株는 '뒷걸음' <br>전문가 "당분간 '달리는 말' 질주 가능성"

'증시 상승의 제2막이 열렸다.' 주식시장이 9일 마침내 1,500고지를 넘어서자 2단 도약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급등하는 주가그래프를 바라보는 증권선물거래소 직원들의 표정이 한없이 밝다. /이호재기자


시가총액 상위종목 '지각변동' ■ 주가 1,500 돌파…화려한 종목장세 조선·기계업종등 중대형주 약진 두드러져유통·식음료·제약·일부 IT株는 '뒷걸음' 전문가 "당분간 '달리는 말' 질주 가능성" 신경립기자 klsin@sed.co.kr '증시 상승의 제2막이 열렸다.' 주식시장이 9일 마침내 1,500고지를 넘어서자 2단 도약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급등하는 주가그래프를 바라보는 증권선물거래소 직원들의 표정이 한없이 밝다. /이호재기자 올 들어 화려한 종목장세가 전개되면서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사상최고치를 거듭 경신하는 조선ㆍ기계업종과 두산을 비롯한 중견그룹주 등이 대거 약진한 반면 업황이 부진한 유통ㆍ식음료ㆍ제약 등 내수소비주와 일부 IT주 등은 순위 다툼에서 밀려나고 있다. 이 같은 양상은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소위 ‘달리는 말’과 그렇지 못한 종목간의 차별화 현상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조선주들 시총 대거 약진=코스피지수가 마침내 1,500을 넘어선 9일 현대중공업을 비롯한 주요 조선업체들도 줄줄이 신고가를 경신하며 화끈하게 날아올랐다. 올 초만 해도 시가총액 16위에 머물던 현대중공업은 이날 장중 22만원에 육박하며 20만원대에 확실하게 안착, 시가총액 7위에 올랐다. 현대미포조선은 5%나 치솟으면서 20만원대로 진입, 연초 59위에 머물던 시총 순위가 어느덧 38위를 넘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연일 신고가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4대 조선업체는 모두 시총 40위 안에 진입한 상태다. 이날 5.2% 올라 2만6,000원을 훌쩍 넘긴 STX조선도 연초 100위권에서 74위로 치솟았다. 기계업종도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연초 30위권 중반에서 10계단 이상 뛰어오른 상태. 이날도 3.8% 이상 상승해 또다시 신고가를 기록했다. 상승행진을 이어가는 두산인프라코어도 이날 8.4%나 뛰어올라 강한 상승탄력을 과시했다. 성진경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주가가 어디까지 오를지 예측할 수는 없지만 지금 시장은 뛰는 종목이 계속 뛰는 분위기”라며 “어닝 시즌뿐 아니라 미국 외 지역의 경기 호조에 따른 해외 모멘텀을 감안할 때 조선ㆍ기계ㆍ소재 섹터에 대해 관심을 계속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부익부 빈익빈 갈수록 심화=조선ㆍ기계업종뿐 아니라 이날 신고가를 갈아치운 종목들 가운데 상당수는 올 들어 시총 순위가 크게 오른 종목이다. 100위권 내 중대형주만 살펴 봐도 현대중공업ㆍ두산중공업ㆍ두산인프라코어ㆍGSㆍ한화ㆍ대림산업ㆍ현대미포조선ㆍ한진해운ㆍ고려아연ㆍ두산ㆍLS전선ㆍSTX조선ㆍ두산산업개발 등이 올 들어 5계단 이상 순위가 뛰어 오르며 새 지평을 열었다. 시가총액 1조원을 웃도는 몸집 큰 종목들임에도 불구, 고려아연은 9%대의 상승률을 보였고 3월 이래 급등 중인 동양제철화학은 이날도 9% 이상 상승한 8만원대로 올라서 시총 80위를 향해 돌진하고 있다. 반면 연초 이래 부진했던 종목들 중 상당수는 이날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올 들어 시가총액 6조원가량을 까먹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시총 순위가 하락한 한국전력ㆍ하이닉스ㆍ현대차가 모두 소폭 떨어졌다. 롯데쇼핑은 전날보다 1.9%나 떨어져 시총 순위가 또 한 계단 하락, 연초 11위에서 17위로 내려앉았고 삼성SDIㆍ삼성전기ㆍ현대오토넷ㆍ유한양행 등 올 들어 5계단 이상 밀려난 부진 종목들은 이날도 1~2%대의 낙폭을 보이며 증시의 잔치 분위기에서 철저하게 소외됐다. 김학균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두산ㆍ한화그룹주를 비롯해 기계업종 등에 주력하는 옐로칩의 약진이 더 이어질 것”이라며 “지수 1,500대 시대가 열려도 조선ㆍ철강ㆍ기계업종을 보유하지 않은 투자자는 별 재미를 못 느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입력시간 : 2007/04/09 17:15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