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소셜커머스, 中企 또다른 유통채널로

파격 할인가 등 성장세 가팔라… "유통창구 정착 힘들것" 지적도

주방용품업체 코멕스산업은 최근 소셜커머스 그루폰코리아에 프리미엄 밀폐용기 '클로켄'을 33% 할인된 가격에 선보였다. 대형마트의 매대나 홈쇼핑 방송시간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소셜커머스가 새로운 대안 유통채널이 될 수 있을지 시험해보기 위해서다. 기존 유통채널에서 설 자리가 좁아진 중소기업들이 잇따라 소셜커머스로 눈을 돌리고 있다. 소셜커머스는 하룻동안 지정된 인원 이상이 제품을 구매하면 파격적인 할인가를 제공하는 쇼핑몰로 올해 거래액이 5,000억원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빠르게 성장하는 유통모델이다. 소셜커머스업체들은 올 초부터 배송상품 카테고리를 강화하며 중소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회원수 500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소셜커머스업체 쿠팡은 지난달 한국주방생활용품진흥협회와 원활한 물품 판매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티켓몬스터도 오프라인 유통채널에 입점하지 못해 소비자들에게 알려지지 않는 중소기업 상품을 찾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쿠팡 관계자는 "상품 딜(deal) 중에서 중소기업 제품 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6월에 79%까지 늘어났다"며 "브랜드 인지도가 없는 상품이라도 제품의 우수성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 페이지가 한 상품만 집중적으로 홍보할 기존 채널을 활용해 높은 매출이 나오는 것 같다"고 전했다. 특히 원목스피커를 판매했던 음향기기업체 DCT는 티켓몬스터에서 1,000명이 넘는 구매자를 끌어들여 이마트에 입점이 결정되는 등 소셜커머스에서 거둔 성공이 기존 유통채널을 뚫기 위한 발판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비즈니스모델의 특성상 소셜커머스가 중소기업의 안정적 유통창구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이름 알리기를 통해 추가 유통채널을 확보하거나 재고상품을 처리하기에는 좋지만 높은 할인율과 짧은 판매기간 때문에 실질적 수익을 거두긴 어렵다는 것이다. 한 문구업체 관계자는 "소셜커머스의 거래수수료는 20%내외로 오프라인 유통채널보다 낮지만 최소 30% 이상 할인된 가격에 제품을 판매해 실질적으로 남는 게 없었다"며 "프리미엄급 제품으로 홍보해왔던 제품을 소셜커머스에서 자주 싸게 내놓을 경우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수 있어 지속적으로 활용하긴 조심스럽다"고 털어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