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새정연, 혁신분란 빨리 수습하고 국회 정상화 나서야

새정치민주연합이 내년 총선의 당내 경선에 참여할 선거인단 100%를 일반 시민으로 구성하는 등의 공천 혁신안을 7일 내놓았다. 당 혁신위가 한 차례 발표를 연기한데다 공천 문제의 민감성을 고려하면 사실상 마지막 안으로 볼 수 있다. 문재인 대표가 "혁신을 무력화하면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다"고 말한 것도 이런 절박함을 담고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문 대표의 이런 바람과 달리 혁신위의 역할 및 공천 쇄신안과 관련한 당내 분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안철수 전 대표가 전날 육참골단(肉斬骨斷)이라는 과격한 표현을 써가며 현 지도부를 '혁신의 실패'라고 규정한 후 이에 동조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당장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는 "(혁신위에) 권력투쟁을 하라고 권한을 맡긴 것이 아니다"라며 부정적 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공천 쇄신안 자체에도 결함이 있다. 20% 이내로 제한하기는 했지만 전략공천을 유지하기로 한 점과 당 대표가 임명하는 전략공천위원장도 공정성과 투명성 관점에서 볼 때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다. 새누리당에서 "필요한 곳에는 전략공천하고 유리한 곳은 완전국민공천을 하는 것은 이도 저도 아니다"라며 혁신안을 평가절하한 것도 무리는 아닌 듯하다. 여기다 호남 등 일부 지역 의원들이 툭하면 탈당과 신당 창당 가능성을 내비치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으니 국민들로서는 눈살을 찌푸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국민들이 새정연에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은 제1야당으로서의 역할은 포기한 채 끝도 없이 집안싸움만 일삼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선진화법에 따라 입법과정에서 제1야당의 영향력은 과거 어느 때보다 막강해졌는데도 당내 분란으로 정상적인 국회 활동이 뒷전으로 밀려나기 일쑤다. 새정연은 '한 집 두 살림'을 이어가느라 빚어진 정치의 실패에 책임을 느낀다면 공천 관련 분란을 조속히 마무리 지어 국민의 신뢰를 얻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