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시론/12월 12일] 경제살리기 해외에서 활로찾자

총체적 경제위기를 헤쳐나갈 별다른 타개책이 보이지 않는 요즈음 해외로부터 낭보가 전해졌다. 지난 10일 국토해양부는 아제르바이잔 정부와 한국토지공사가 아제르바이잔 샤브란 평원 일대에 7,200만㎡ 규모의 신행정복합도시 건설사업총괄관리(PMㆍProgram Management)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이번 계약으로 총괄관리자로 선정된 토공은 신행정도시 건설을 위한 사업기획, 지구지정에서 조직ㆍ법률, 재원조달, 공정관리까지 종합적인 개발계획 수립을 수행하게 된다. 신행정도시의 1단계 PM사업 계약금액은 약 450억원(계약기간 3년)이나 향후 2ㆍ3단계 PM 및 CM까지 계약할 경우 약 7,000억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한다. '한국형 신도시 건설' 관심 높아 더욱이 토공이 총괄관리자로 선정됨에 따라 향후 신도시조성에 관련된 주택ㆍ상가ㆍ호텔ㆍ발전소ㆍ도로ㆍ상하수도 등 각종 시공부문 수주에 우리 민간건설업체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게 됐고 신행정도시 전체사업비 약 28조원 중 토목공사비가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돼 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라설 경우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몇 년간 ‘한국형 신도시’를 지어달라는 해외의 ‘러브콜’이 잇따랐다. 2006년 3월 한국을 방문한 알제리의 대통령은 “5년 안에 이러한 대규모 첨단 신도시를 만들 수 있는 나라는 한국뿐일 것”이라며 한국 정부에 180만평 규모의 부이난 신도시 건설을 요청했고 현재 대우 등 10여개의 민간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신도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그 외에도 리비아, 키르기스스탄과 같은 자원부국들이 ‘한국형 신도시’ 건설을 요청, 현재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뿐 아니라 아프리카ㆍ독립국가연합(CIS) 국가들까지 ‘한국형 신도시’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이들 국가들은 대도시 및 해안지역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과거 한국의 1980년대처럼 급격한 도시화 과정의 진행으로 극심한 주택ㆍ교통난을 겪고 있다. 이들의 입장에서는 건설에 보통 30년 이상 걸리는 유럽 국가들의 신도시모델보다는 5년 내지 10년의 단기간에도 높은 수준의 도시환경과 정보기술(IT) 인프라까지 구비해 첨단 U-City로 개발되고 있는 ‘한국형 신도시’가 한결 매력적이다. 이른바 ‘한국형 신도시’의 수출은 예전 1970~1980년대 중동의 건설붐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즉 이들이 요구하는 사업방식은 과거 단순한 주택건설이나 토목공사와는 달리 사업비만 수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를 사업기획부터 시공ㆍ관리까지 통째로 발주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그 규모의 방대함이나 절차의 복잡성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그에 걸맞은 건설실적 및 경험을 보유한 국가나 기업이 매우 드물게 된다. 자연히 최근 20년간 분당ㆍ일산ㆍ동탄 등 대규모 신도시를 성공적으로 조성했던 한국과 토공의 경쟁력이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적·경험 살려 전략적 진출을 최근 자원확보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거의 전쟁 수준이며 자원자급률이 10%도 되지 않는 우리나라는 이러한 자원전쟁에서 승리해야만 생존이 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원부국들이 한국의 신도시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대단한 호기라 하겠다. 그들에게는 자원과 신도시 등 국가 인프라 구축의 수요가 있고, 우리에게는 인프라 조성 노하우와 자원에 대한 수요가 있다. 서로 패키지로 주고받기에 딱 좋은 여건이 조성돼 있는 것이다. 정부는 경험과 공신력이 보장된 토공 등 관련기업을 적극 활용해 에너지자원 확보와 연계한 신도시 수출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이다. 호기는 한번 놓치면 좀처럼 다시 오지 않는 법이다. 모처럼 찾아온 국가적 기회가 새 정부 ‘경제 살리기’의 돌파구가 될 수 있도록 해외 신도시시장 확보에 정부와 공기업ㆍ민간영역의 힘을 결집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