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尹재정 EBRD회의서 유종의 미

비유럽국 첫 의장직 수행<br>총회 한국개최 가능성 높여

윤증현(가운데)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연차 총회 개막에 앞서 EBRD 토마스 미로(왼쪽) 총재와 엔조 카트로시세 사무총장과 회의 안건에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북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방안을 오는 7월 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EBRD는 지난 21일 카자흐스탄에서 올해 의장국인 우리나라의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회원국 수석대표들이 참석한 라운드 테이블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재정부가 밝혔다. 이번 회의는 윤 장관이 재정부 장관으로서 마지막 공식 해외 일정으로 회원국 간 공감대를 이끌어내며 EBRD 지원 대상을 북아프리카까지 확대하는 성과를 도출했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윤 장관은 비유럽국가 장관으로는 처음 의장직을 수행하고 EBRD총회 한국 개최 가능성까지 높임으로써 '유종의 미'를 거두고 퇴장하게 됐다. EBRD는 회의에서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변화가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지원대상 지역을 이집트 등 북아프리카까지 확대하는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회원국에 추가 증자 등 새로운 부담을 주거나 기존 수혜국의 지원을 줄이지 않는 범위에서 특별기금을 통해 지원하자는 입장을 제시했다. 그러나 일본과 네덜란드ㆍ이스라엘 등은 북아프리카 국가의 복수정당제 도입 등 민주화 진전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신중론을 피력해 합의점 도출이 쉽지 않았다. 이에 윤 장관은 EBRD가 7월31일까지 북아프리카 지원을 위한 구체적 절차와 방법을 검토해 보고하도록 하는 중재안을 제시, 회원국들의 동의를 얻어냈다. 여기에 윤 장관은 토마스 미로 EBRD 총재와 양자면담을 갖고 한국이 EBRD 연차총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윤 장관은 현재 EBRD 총회를 수혜대상국에서 2회, 본부 소재지인 영국에서 1회씩 번갈아 개최하고 있지만 한국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ㆍ국제통화기금(IMF)ㆍ세계은행(WB) 연차총회 등을 개최한 경험이 있다고 강조하며 회의 유치 의지를 전달했다. 이에 미로 총재는 "고려하겠다"고 답변해 EBRD총회의 한국 개최 가능성을 높이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