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개성공단 입주 기업 "회사 부도나는데…" 망연자실

정부서 보상금 받더라도<br>사업 유지엔 턱없이 부족

북한이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실무회담 제의를 거부하면서 근로자 전원 철수를 비롯, 개성공단 폐쇄 가능성까지 점쳐지는 가운데 입주기업들은 "부도 위기에 처했다"며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북한이 이날 오후 한국 정부가 제안한 실무회담까지 거부하자 망연자실한 분위기다. 유승환 TS정밀 전무는 "만약 개성공단에서 완전 철수할 경우 회사는 엄청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며 "정부로부터 보상을 받는다 해도 투자설비에 대한 감가상각이 포함돼 사실상 투자비를 포기하는 결과가 나타난다"고 우려했다. 그는 "개성공단 폐쇄시 멀쩡한 공장이 사라지는데 받은 보상금으로는 한국에서 땅 몇 평조차 살 수 없는 정도"라며 "개성공단 없이 다른 곳에서는 사업을 이어가기가 거의 힘들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상황이 더욱 긴박하게 돌아가자 개성공단기업협회도 이날 서울 무교동 협회 사무실에서 오전부터 하루 종일 긴급회의를 갖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입주기업 대표들은 남북 간 상황 파악에 예의 주시하며 폐쇄만은 안 된다는 강경한 모습을 보였다. 한재권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전날 정부 발표 이후 개성공단에서 납품을 받는 원청업체들 2~3곳에서 납품 불가 요청이 오는 등 개성공단 기업들이 부도 나고 회사가 도산할 위험에 처했다"며 "남북이 합의한 50년간에 걸친 투자 보장이 확고하게 지켜지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의 한 실무자는 "입주기업들이 정부의 대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며 "정부의 입장을 지켜본 뒤 대응해야겠지만 만약 폐쇄ㆍ철수 조치에 들어갈 경우 입주기업들의 피해 수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이날 서울 흑석동 중앙대 R&D센터에서는 '개성공단 정상화와 조업 중단에 따른 지원 대책'을 주제로 제4회 개성공단포럼이 열렸다. 이번 포럼에서는 ▲입주기업 피해보상 체계 현실화 ▲납품기한을 맞추지 못해 발생한 재고물품 판로 지원 ▲각종 임대료ㆍ관리비ㆍ세금 감면 ▲개성공단 U턴기업 지원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