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3분기 수출 전망도 맑음

KOTRA·삼성경제硏 조사


올 상반기 수출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3ㆍ4분기 수출 전망도 밝은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KOTRA와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해외 바이어 1,934명을 대상으로 '2010년 3ㆍ4분기 수출선행지수'를 조사한 결과 수출선행지수가 전분기보다 1.5포인트 상승한 53.1을 기록했다. 이는 지수가 처음 개발돼 발표된 지난해 4ㆍ4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수출선행지수가 50 이상이면 전분기 대비 수출경기 호조, 50 미만이면 수출경기 부진을 의미한다. 수출경기 예측의 세 가지 보조지수로 활용되는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수출국 경기지수 가운데 해당 국가 경기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산출되는 수출국 경기지수는 전분기보다 1.7포인트 상승한 61.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아시아(71.9)와 중남미(68.7), 북미(67.1) 지역의 경기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가격경쟁력지수(49.2)는 2개월 연속 50을 밑돌며 국내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이 다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아시아(60.9), CIS(56.8), 중남미(56.7), 중국(55.3) 등 신흥시장에서 호조세가 지속된 가운데 선진시장에서는 일본(50.9)과 북미(50.2)가 50을 넘어섰다. 품목별로는 전세계적 공급부족 현상에 힘입어 반도체(61.2)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자동차(61.1)와 자동차부품(55.5), 석유화학(55.5), 철강(54.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해외생산 비중이 확대된 휴대폰(44.0)과 컴퓨터(49.1)의 경우 기준치(50)를 밑돌아 부진이 예상된다. 오성근 KOTRA 통상정보본부장은 "수출시장 여건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가운데 선진국시장에서 수출국 간 경쟁구도가 고착화되고 있는 요즘이 틈새시장 공략을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조언했다. 김득갑 SERI 글로벌연구실장도 "신흥시장을 상대로 한 수출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중국의 수출 다변화와 일본의 볼륨 존 전략, 미국의 수출지향경제 전환 움직임 등으로 향후 유망신흥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