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년전 물류대란 악몽 되살아나나

정부 軍트럭 투입 대책마련

5년전 물류대란 악몽 되살아나나 ■ 화물연대 13일부터 총파업일부 사업장 이미 파업… 운송차질 현실화정부, 軍트럭 확보 등 비상대책 마련 나서"화주·물류업체가 직접 나서 타협점 찾아야" 성행경 기자 saint@sed.co.kr 화물연대가 예정대로 오는 13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경우 지난 2003년 총파업 때와 같은 극심한 물류 및 운송대란이 우려된다. 특히 화물연대의 이번 결정은 민주노총이 10일부터 14일까지 총파업을 겨냥한 조합원 찬반투표에 돌입하기로 한 데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국내 사회ㆍ산업 전반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전자ㆍ자동차 등 수출입 화물이 많은 산업계는 당장 비상이 걸렸다. 아울러 화물연대 파업은 민노총의 총파업과 맞물릴 경우 올 하투 정국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시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물류ㆍ운송대란 불가피=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한 것은 지난해 초 1,100원대이던 경유 값이 1년 만에 1,800원대로 배 가까이 오른 반면 운송료는 그대로 묶여 있어 운행할수록 적자를 내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정부가 8일 내놓은 고유가 관련 대책도 화물연대를 주저앉히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화물연대는 12일까지 파업유예기간을 두고 있지만 일부 지방 사업장에서는 이미 파업에 돌입한 곳도 있어 총파업 실행 가능성은 매우 높다. 경남 창원동부지회 한국철강분회 소속 화물운전자 등 180여명과 울산지부 현대 카캐리어분회 소속 지입차주 90여명이 운송료 35% 인상을 요구하며 이날부터 운송거부에 들어갔다. 특히 카캐리어 분회의 파업으로 당장 하루 평균 900~1,000대에 달하는 현대차의 신차 출고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자동차ㆍ철강 등 수출입 화물이 많은 업계는 화물운송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운송일정을 조정하고 추가 차량을 확보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노심초사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파업이 본격화할 경우 하루 최대 10억달러 이상의 수출입 화물의 운송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 대책과 해법은=정부는 이번 화물연대 파업에 대비해 ▦군 컨테이너 트럭 100대 확보 ▦육상운송물량의 철도ㆍ연안해운 전환 ▦자가용 화물차의 영업용 활용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놓고 있기 때문에 과거처럼 피해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003년과 2006년 발생한 화물연대 파업이 집단이기주의로 비쳐지면서 국민적 지지를 이끌어내지 못했던 데 반해 이번 총파업의 경우 경유값 폭등으로 인해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고 있다는 주장이 공감을 얻고 있어 화물연대에 소속되지 않은 화물차주들까지 파업에 적극 동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창원 한국철강의 경우 화물연대 비조합원들도 9일부터 파업에 동참했으며 평택항과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에서도 비조합원들이 파업에 참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일 운송거부에 들어간 부산냉동차주협회 소속 냉동컨테이너차주 200여명도 화물연대에 가입돼 있지 않다. 정부는 10일 화물연대 지도부와 면담을 갖고 원만한 사태해결을 위해 최대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 지원책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결국 화주와 물류업체가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화주와 물류업체들로서도 제품의 운송 차질로 수출에 피해를 준다면 대외 신인도 하락은 물론 경영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