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대통령 선거구제 구상은

권역별·독일식 비례대표제 거론

盧대통령 선거구제 구상은 권역별·독일식 비례대표제 거론 김병기 기자 bkkim@sed.co.kr 관련기사 • “실질적 정권이양, 헌법위배 안돼” 노무현 대통령이 지역구도 해소를 위해 염두에 두고 있는 선거제도란 무엇일까. 노 대통령은 29일 청와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독일식 비례대표제’를 언급했다.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영남권ㆍ호남권 등 권역별로 비례대표 명단을 미리 작성한 뒤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는 제도다. 비례대표 배분 방식에 따라 ▦해당 권역에서의 정당 득표율을 기준으로 비례대표를 배분하는 방식 ▦전국 정당득표율을 기준으로 비례대표를 배분하는 방식 등 두 가지가 있다. 영남권에서 20% 이상의 지지율을 얻고 있는 열린우리당은 이 지역에서 비례대표를 상당 수 확보할 수 있지만 호남권 지지율이 5% 미만인 한나라당은 불리할 수밖에 없는 제도다. 독일식 비례대표제는 의원 절반을 지역대표로 뽑고 나머지 절반을 비례대표로 할당하되, 각 당의 지지율과 의원수 비율이 일치하도록 비례대표를 채워주는 제도다. 예를 들어 전체 의석이 100석인 경우 A 정당이 득표율 30%를 얻었는데 지역구 후보가 20명밖에 없다면 나머지 10석을 비례대표로 채우는 형태다. 이 제도는 소선거구제를 유지해 지역대표성을 보존하면서도 국민들이 투표한 비율만큼 의석이 배분되기 때문에 사표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논의가 시작된다면 제도에 따라 정파별로 이해득실이 갈려 격렬한 논쟁이 예상된다. 입력시간 : 2005/07/29 17:3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