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 방안등 타결땐 정부-AIG 담판만 남아정부와 미 AIG컨소시엄간 현대투신 매각협상이 종착역에 다다랐다. 최종 타결시점은 이달 중순께가 될 가능성이 높다. 관계당국이 언론에 보도자제를 요청하고 있는 것에서도 협상 종결이 임박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매각 협상의 열쇠인 현대증권 지분처리는 이르면 다음주 중 해결될 수 있다. 막바지 협상의 특징은 증권 지분처리와 관련, 매각 당사자인 정몽헌 회장(MH)측 반발이 거세짐에 따라 증권 유상증자에 AIG가 참여, 최대주주가 되는 방안이 깊숙이 논의되고 있다는 점이다.
◆ 협상, 어디까지 진척됐나
현투 매각협상이 실질적으로 시작된 것은 지난 1월31일. 정부가 AIG에 현투 공동 출자방안 제출을 요구하자 AIG가 현투 투자제안서를 제출했다.
정부는 이후 증권 처리는 MH측과 AIG간 자체 협상에 맡겼다. 그러나 상선을 통해 증권 지분(16.63%)을 보유, 최대주주인 MH측이 '금융업서 손떼라'는 정부요구에 반발해 버티면서 협상이 꼬였다.
협상이 진전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말. 당시 정부 고위관계자는 "현대증권 협상이 실질적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8월 초 결론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근영 금감위원장도 "AIG에서 현대측이 제시한 최종안에 대해 곧 답변을 가져올 것"이라고 언급, 타결이 초읽기에 들어갔음을 내비쳤다.
특히 금감위측이 1일 이르면 8월 중순 협상타결을 전제로 엠바고(보도자제)를 요청, 조기 종결 가능성을 더욱 짙게 했다. 이에 대해 당국이 현대측을 압박하기 위한 카드로 활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변하기 시작한 협상 틀
현대측은 증권지분 매각에 대해 끝까지 버텼다. AIG에 이어 2대 주주로라도 남겠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였다.
그러나 그대로 매각하면 현주가(주당 9,000원)가 평균 매입단가(1만6,000원)에 턱 없이 미달, 대규모 매각손을 떠안는다는 게 정작 이유였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뭔가 변한 게 틀림없다. 현대측이 크게 밑지지 않을 정도의 타협이 이뤄질 공산이 크다. 이와 관련, 정부의 한 관계자는 "MH측이 증권 지분을 직매각하지 않고 다른 방안으로 해결할 수 있다"며 "유상증자에 AIG가 참여하는 것도 방안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유상증자 방안'이 히든카드로 등장한 것. 증권이 3자 배정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고 AIG가 참여할 경우 현대측은 자본증대에 따라 지분이 희석되지만 매각손 부담을 덜면서 AIG에 이어 2대 주주로 남을 수 있다. 지분 직매각과 유상증자 참여 방안이 병행해 이뤄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 협상의 남은 절차
증권 협상이 마무리되면 정부와 AIG간 담판만 남는다. 쟁점은 공동출자와 공적자금 투입 규모ㆍ방식이다. 현투 자본잠식 규모는 2조1,000억원. AIG는 1조1,000억원을 넣기로 했다. 이 돈은 현투를 거쳐 증권과 투신운용 등으로 흘러간다.
지난해 6월 현대와 AIG간의 1차 양해각서(MOU) 때는 6(현투)대3(현대증권)대2(현투운용)었다. 이는 백지화했다.
정부는 증권 매입액을 최대한 낮춰 현투로 돌리고자 했다. 공적자금 규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증권 자산가치가 생각보다 훨씬 우량해 매입가를 턱 없이 낮출 수는 없다.
결국 공적자금 규모는 6,000억~9,000억원 사이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투입방식은 국책기관을 통한 우회출자 가능성이 높다.
김영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