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u-코리아' 건설한다

모든 인간과 사물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가 오는 2007년까지 'u-코리아 계획'에 의해 적극 추진된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언제 어느 곳에나 존재한다'는 의미다.제주 서귀포에서 지난 6~7일 개최된 제1회 통신사업자 CEO 포럼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성국 정보화기술연구소장은 "선진국들이 유비쿼터스 기술을 통한 IT산업의 진화를 위해 적극 투자하고 있다"며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온 e코리아 비전을 대체할 'u코리아 비전'을 공식 제안했다. ★관련기사 12면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현실세계의 모든 사물과 장소에 컴퓨터를 심어 네트워크로 연결한다는 개념. 즉 학교, 정부, 도서관 등 건물 뿐 아니라 도로ㆍ다리 등 시설물과 자동차ㆍ안경ㆍ옷ㆍ컵ㆍ동물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실재하는 물리공간에 컴퓨터를 집어넣는 혁신적인 IT의 진화단계다. 이 소장은 오는 2007년까지 세계 최초로 전국의 가정과 장소, 도시 시설물이 초고속 유비쿼터스 컴퓨팅으로 연결되는 국가 시스템을 구축, 세계적인 지식정보 허브국가를 건설하자고 제안했다. 첫 단계는 초고속인터넷과 모바일ㆍ무선랜, 차세대인터넷규약(IPv6), 초소형 칩ㆍ센서망, 보편적 상시접속 등의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통신기술을 아우르는 'HSUC&N'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이다.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u단말기, u칩, u카드 등이 나오고 이들이 모든 인간과 사물로 스며들면 자연스럽게 u사회시스템이 구축된다. 즉 u홈, u아파트, u빌딩, u도로 등 '똑똑한' 사물들로 네트워크화된 사회시스템을 사람들은 시간ㆍ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귀포=김문섭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