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불확실성 커지는 경기 전망

산업활동동향과 경기선행지수ㆍ기업실사지수(BSI) 등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어 우리 경제가 정점을 찍고 하강국면으로 들어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발표한 주요 경기지표를 보면 향후 경기동향을 예고하는 각종 선행지표들이 일제히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집트 사태를 비롯해 대외악재가 불거지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생산은 16.7% 늘어 10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산업생산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속 둔화해 지난해 12월 증가율은 9.8%에 그쳤다. 특히 6~7개월 뒤의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선행지수는 12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은이 내놓은 '1월 제조업BSI' 역시 90으로 전월의 92보다 하락하며 13개월째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앞서 전경련의 2월 기업BSI도 17개월 만에 기준치 이하로 떨어졌다. 정부는 올해 경기가 기저효과 등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회복세가 빨라지는 '상저하고'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올해 성장목표로 잡은 5% 달성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최근 경기동향을 나타내는 각종 지표들이 빠르게 둔화하고 있는데다 외부악재들이 겹치고 있는 형국이어서 낙관이 어렵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유럽은 물론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들에서조차 재정위기의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튀니지에서 불붙기 시작한 민주화운동의 열기가 중동지역으로 옮겨 붙을 조짐을 보이면서 국제유가를 비롯해 각종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환율도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업들로서는 원자재 가격 급등과 금리상승ㆍ환율하락 등이 가장 큰 부담이다. 정부는 원자재의 경우 비축량 확대, 관세인하 등을 통해 수급불안을 해소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금리 및 환율정책도 물가안정과 함께 수출증대라는 양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내수 및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통해 악화하고 있는 수출여건을 상쇄할 경제운용이 요구된다. 기업들도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각기 실정에 맞게 난관을 극복하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