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 대북 정책 온건파, 강경파에 밀려

중진 의원간 논란…온건론에‘인기영합발언’지적

한나라당 중진의원 사이에서 대북정책을 놓고 강경파와 온건파가 맞붙었다. 일단은 강경파의 판정승으로 끝나는 분위기다. ‘남북 대화 촉구’는 정치인의 인기영합적인 발언으로 받아들여진 탓이다. 이날 열린 최고위원ㆍ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홍사덕 의원은 “연평도 사태는 대통령의 강력한 지도력에 힘입어 첫 번째 꼭지를 잘 마무리 했다”면서도 “다만 지금과 같은 (적대적)남북관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되어서는 안된다라고 모두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의원은 이어 “당 대표나 원내대표가 신임 정책위의장과 상의해서 대북정책을 선도적으로 리뷰 하는 게 어떨까 싶다”고 제안했다. 정몽준 의원은 “핵무기 개발을 짧게 보면 20년 길게 보면 30년 걸친 일이어서 북핵 개발이 (지난 10년 집권한)민주당 만의 책임이라고 생각하기 어렵다”면서 “한나라당도 일정 부문 책임을 느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인 남경필 의원도 “과거 햇볕정책이 일정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성과를 부인하긴 어렵고, 비핵 개방 3000원칙도 일정한 성과와 일정한 단점이 있었다”면서 “이제는 모두 모아서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정권 차원을 넘어 20~30년 갈 수 있는 긴 호흡의 대북 전략을 마련할 때”라고 거들었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더 나아가 정책과 인물을 바꿀 것을 촉구했다. 그는 “현 정부의 대북 라인,외교ㆍ안보 라인이 강경 일변도로 짜여 있는 데 재정비 해야 한다”면서 “이 정부가 만든 대북 정책이 거의 북한의 급변 사태를 전제로 했는데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곧바로 반론에 부딪쳤다. 이윤성 의원은 “현재 상황이 그렇게 여유 있지 않다”면서 “국지전의 최고 경계인 진돗개 하나가 발효중이고 전군이 비상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가 “이 자리에서 그냥 생각나는 대로 말..”이라고 꼬집자 정두언 의원이 “생각나는 대로가 아니다”라고 맞서기도 했다. 또한 이경재 의원은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시절 외형적으로 화려한 긴장완화가 됐지만 북한은 핵과 미사일을 개발했다"며 "단호한 의지를 보인 이번 훈련으로 북한은 좀더 조심하고 당분간 평화로 갈 가능성이 있으며, 강력한 군사대결이 평화 유지의 현실적인 방안이 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특히 정두언ㆍ남경필 의원 등을 겨냥 한 듯 "‘평화ㆍ대화’는 인기 있는 발언인데, 대화로 가면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로 가는지 상기해야 한다"고 일침을 놓았다. 김영선 의원도 "한국만 핵무장이 안된 상황에서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느냐가 먼저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안상수 대표는 이경재 의원의 말에 맞장구를 쳤고“한나라당은 김장수 전 국방장관을 중심으로 한 안보 특위가 구성돼 있다. 안보 특위를 중심으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안보 특위는 강경론자가 대부분이어서 사실상 강경론에 힘을 실었다는 해석이다. 안 대표는 기자와 만나 “대북 정책은 안보 특위가 실질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