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엇갈리는 글로벌 경기] 고용까지 불안… 7% 성장도 장담 못해

■ 중국 제조업 PMI 11개월 만에 최저<br>근로인력 줄고 고용 질 나빠져<br>경제 전반 생산성 악화 우려<br>추가 부양책 내놓을 가능성


"추가 부양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중국 성장률은 오는 2016년께 6%대로 둔화할 수 있다." (다리우시 코발치크 크레디아그리콜 이코노미스트)

"투자에서 소비로 경제를 '리밸런싱'하면 통상 성장률은 3분의1에서 절반으로 떨어진다. 중국 역시 대비가 필요하다." (크레디트스위스)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해온 중국의 제조업 경기가 연일 악화하면서 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 경제에 대한 '경고'가 갈수록 요란해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과잉투자와 급증하는 부채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개혁정책이 제조업 전반을 빠르게 냉각시키며 중국 경제가 '부동산발 경착륙' 경고가 나왔던 지난 2008~2009년 수준으로 추락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경제 경착륙을 막기 위한 사회간접투자(SOC) 확대 등 정부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며 중국 개혁정책의 '미세조정'을 주문하기 시작했다.

◇깊어지는 성장률 둔화 우려=중국 국내총생산(GDP)의 핵심인 제조업 경기가 하락할 경우 이미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성장률을 더욱 끌어내릴 수 있다. 실제 이달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속보치가 전달의 48.2에서 47.7로 추락하자 전문가들은 올해 정부 성장률 목표인 7.5%를 보장하기도 어려워졌다는 우려를 쏟아냈다.

중국 제조업 PMI는 신흥국 위기징후가 가시화된 5월부터 이미 3개월 연속 50 이하에 머물며 '경기위축'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지난달 차이진 중국물류구매연합회 부회장은 "PMI가 몇 개월 더 49~50선에 머무른다 해도 성장률은 7%대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제조업지수가 48 이하로 추가 하락세를 이어가면 '7% 성장률'조차 흔들릴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고용악화 심상치 않다=특히 전문가들은 중국 경기둔화와 관련해 고용 문제를 거론하기 시작해 주목된다. 취홍빈 HSBC 중국담당 수석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국의 고용 성장률이 올 1ㆍ4분기에는 2009년 1ㆍ4분기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둔화할 것"이라면서 "빠른 고령화 추세 등을 감안할 때 고용생산성 답보가 향후 성장의 발목을 잡을 최대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중국은 '한자녀 정책'의 결과로 고령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근로인력이 줄어드는 '인구 트렌드'의 역전 구간에 이미 진입했다. 여기에 제조업경기 둔화가 '고용의 질' 악화로 이어져 사회안전망을 약화시키고 경제 전반에 부담을 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늘고 있다.

◇중국 정부, 정책 미세조정 나서나=중국의 제조업 경기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둔화하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 당국이 곧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도 최근 정부의 성장목표 하한선이 7%라고 밝혀 추가 경기하락시 부양책이 나올 여지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민간 부채율이 GDP의 165%를 상회하는 심각한 수준이고 과잉투자에 따른 주택 공실률이 20%에 달하는 등 경기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있어 중앙정부가 철도건설 등 SOC 투자를 통해 제조업 경기를 부양하고 고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권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정부 개혁방향은 옳지만 경착륙 우려로 치닫고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일단 불식시키는 게 중요하다"며 "미세하고 효율적인 부양책이 뒤따를 경우 중국 제조업은 4ㆍ4분기께 다시 상향 기조를 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전했다.

다만 정부가 추가 대책을 내놓아도 구조개혁에 따른 파장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실제 최근 중국 당국이 기업 금융비용을 인하하기 위해 대출금리 제한을 폐지했지만 중국 'AAA'등급 회사채 수익률은 지난 3주 사이에만도 1.40%포인트나 급등하며 기업부채발 파열음이 좀 더 지속될 수 있음을 드러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