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요 증권사 경영전략] 한화증권

금융공학팀 구성 고부가상품 발굴한화증권은 앞으로 브로커리지 위주의 단순영업을 금융상품판매 및 자문을 겸하는 통합 영업체계로 전환시켜 종합투자은행(Investment Banking)으로 변신한다. 장외파생상품의 개발과 해외투자펀드의 상품판매 등으로 시장의 기대에 한발 앞선 신상품ㆍ신시장개척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시장상황을 고려한 단계적인 증자를 포함해 자기자본 확충도 예정하고 있다. 우량 투자은행에 걸맞는 내실을 갖추기 위해서다. 외국 금융사와의 전략적인 제휴 등을 통한 종합증권사로서의 성장전략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소매영업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아직까지 소매영업 부문은 회사의 주요 수익원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하나부터 차근차근 전진해 나간다는 실리중시적 사고가 바탕에 깔려 있다. 랩어카운트(Wrap Account)를 포함한 고부가가치 금융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영업네트워크 측면에서 소매영업의 시장점유율를 높여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마케팅본부 주관 아래 '주식영업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판매망과 인원을 재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단순히 회전매매에 의존해 약정점유율을 올리는 구태에서 벗어날 고객편의를 최우선으로 하는 이벤트를 개발하고 점포 및 인력관리 강화 차원에서 직원들의 자산관리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강도높게 시행하고 있다. 아울러 사이버 영업과 관련한 IT인프라를 점진적으로 개선해 업계 최고수준의 디지털 환경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파생금융상품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금융상품에 대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으로 금융공학팀도 신설했다. 기존의 저부가가치 중개영업보다는 금융공학을 이용한 증권설계기법으로 고부가가치 금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첨단 자금중개시장의 선두주자로서 기반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다. 한화증권 금융공학팀은 현재 회사자산을 이용한 파생상품설계로 자산운용의 수익성을 높이고 있다. 또 다수의 기업을 상대로 장외파생상품 설계자문에 응하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내에 주요 수익원이 될 것으로 자평한다. 체계적인 위험관리시스템 구축도 빼놓을 수 없는 전략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금융시장 위험 및 불확실성이 증대돼 사업영역 확대에 따른 전사적 위험관리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영업환경 변화 및 사업영역 확대를 반영한 내부 위험관리 규정과 운용준칙을 개선했고 데이터 축적을 통한 통합 위험관리 시스템을 구축중이다. 시스템을 구축하면 위험관리조직을 별도의 조직으로 독립시켜 전문화할 예정이다. 철저한 손익관리를 통한 내실경영강화를 위해 성과급을 포함한 제반 평가제도 역시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