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저축은행의 '옥석 가리기'

오렌지상호신용금고(현 저축은행)는 국가 외환위기 직후 부실경영 때문이 아니라 '뱅크런(예금인출 사태)'때문에 문을 닫았다. 불안감을 느낀 고객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인출하면서 지급불능 사태에 빠져 흑자도산했다. 10여년 만에 비슷한 상황이 재현되고 있다. 삼화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자 17일과 18일에는 주요 대형 저축은행에 고객들이 몰려와 예금을 빼갔다. 100억원 안팎씩 돈이 빠져나가다 보니 저축은행 관계자들도 속을 태웠다. 예금자보호한도(1인당 5,000만원)을 감안해 부실 저축은행에 넣어둔 예금을 인출하는 것은 합리적인 처사다. 다만 모든 저축은행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은 오렌지상호신용금고 때처럼 역으로 뱅크런을 불러올 수 있다. 이 경우 1인당 5,000만원을 넘는 예금을 보호 받지 못하게 될 수도 있고 5,000만원 미만의 돈도 상당 기간 묶일 수 있다. 본인 돈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얘기한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예금을 중도 해지하면 약정 이자를 받지 못한다. 탄탄한 저축은행에 예금을 해놓고도 막연한 불안감에 약정 이자를 타지 못한다면 이것도 큰 손해다. 안타까운 얘기지만 지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영업정지를 당한 저축은행은 9곳에 달한다. 매년 2~3곳은 영업정지를 당했다. 외환위기 이전 200여개에 달했던 저축은행은 현재 105개로 줄어들었다. 부실 저축은행은 시장에서 꾸준히 퇴출돼왔고 이는 최근만의 일은 아니다. 저축은행중앙회가 저축은행의 예금인출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쌓아놓은 지급준비금도 3조원대에 달한다. 예금자들의 인출사태가 다소 잠잠해진 18일에도 기자에게 여러 통의 문의전화가 왔다. 자신이 거래하는 저축은행이 안전한지를 묻는 것이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8% 이상ㆍ고정이하여신 8% 미만이면서 PF 대출규모가 적고, 수신금리가 낮은 곳일수록 안전한 저축은행이라는 게 기자의 답이다. 무조건 저축은행에서 돈을 빼기보다는 안전한 곳을 골라 최대한 실리를 챙기는 것도 현명한 금융소비자의 태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