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참여정부 내각/조각 이모저모] 지역화합 겨냥 철저히 안배

노무현 대통령의 1기 내각은 50대가 주축이 돼 `젊은 대통령-힘있는 정부`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화합을 위해 지역별 안배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이날 발표된 19명의 각료 가운데 50대가 15명으로 78.9%를 차지했으며 40대는 3명(15.8%)으로 40~50대가 94.7%를 차지했다. 장관들의 평균 연령은 54.5세이며 60대는 조영길 국방장관 1명에 그쳤다. 김대중 대통령의 1기 내각(17명)이 40대 1명, 50대 10명, 60대 6명으로 평균나이가 58세였던 점을 감안할 때 참여정부 1기 내각은 3~4세 가량 젊어진 것이다. 출신지역별로도 철저한 안배가 이뤄졌다. 부산ㆍ경남과 광주ㆍ전남북이 각각 4명이었으며, 대구ㆍ경북도 3명으로 전체적으로 영남이 7명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어 대전ㆍ충남북과 경기ㆍ인천이 각 2명, 서울과 강원, 제주, 평양이 각 1명씩을 차지했다. 우선 부산ㆍ경남 출신은 김두관(경남 남해) 행자, 진대제(경남 의령) 정통, 허성관(경남 마산) 해양수산, 박봉흠(경남 밀양) 기획예산처 장관 등 4명이다. 광주ㆍ전남북 출신도 정세현(전북) 통일, 윤영관(전북 남원) 외교통상, 조영길(전남 영광) 국방, 김영진(전남 강진) 농림장관 등 4명이었다. 이어 대구ㆍ경북은 이창동(대구) 문광, 권기홍(대구) 노동, 이영탁(경북 영주) 국무조정실장 등 3명이며 대전ㆍ충청지역 출신은 윤진식(충북 청주) 산자, 김화중(충남 논산) 보건복지 등 2명으로 나타났다. 경기ㆍ인천도 김진표(경기 수원) 재경, 박호군(인천) 과기장관 등 2명이었고 서울(지은희, 여성부)과 강원(최종찬.건교), 제주(강금실. 법무), 이북(한명숙. 환경)이 각 1명씩이었다. `국민의 정부` 첫 내각에서는 광주ㆍ전남 5명, 대전ㆍ충남ㆍ북 4명, 대구ㆍ경북 4명,부산ㆍ경남 1명, 서울ㆍ경기 2명, 이북 1명 등으로 `DJP 연합`에 따른 정권창출 결과 호남과 충청, 대구경북 출신 인사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었다. 반면 `참여정부` 내각은 노 대통령의 출신지인 부산ㆍ경남 출신 인사들의 부상이 특징중 하나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지역별 안배에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평가된다. 출신대학은 서울대가 1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아대 이화여대 각 2명, 고려대 경북대 각 1명이었다. 김영진 농림장관은 강진농고 출신이고 조영길 국방장관은 육사가 아닌 갑종 172기 출신인 점도 특색이다. 육사출신과 연세대 출신은 국민의 정부 1기 내각에서도 각각 2명, 1명이 포함됐으나 이번 조각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다. <김대환기자 dkim@sed.co.kr>

관련기사



김대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