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정일 방중] 中, 한국에 불편한 심기 드러내

"김정일 방중 허용은 중국 주권 범위에 있는것"

중국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을 둘러싼 우리 정부의 불만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어떤 국가 지도자의 방문을 받아들이는 것은 중국의 내부 문제며 주권의 범위에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 대변인의 이 발언은 한국 정부가 김 위원장의 방중을 허용한 중국에 항의했다는 보도에 대한 입장을 요구 받고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대변인이 통상 현안을 둘러싼 예상질문에 대한 ‘준비’를 하고 나온다는 점에서 중국 정부의 준비된 답변으로 해석된다. 중국 공산당에서 발행하는 국제 전문 기관지인 환구시보도 이날 중문판과 영문판에서 “한국이 중국의 김정일 환대에 불만을 표출했다”는 요지의 기사를 1면 톱으로 보도했다. 환구시보의 이런 보도는 그동안 ‘김정일 귀국 전 보도 불가’라는 관례를 깨면서까지 우리 정부를 겨냥한 것으로 중국 공산당 수뇌부의 ‘의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베이징 외교가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우리 정부의 반응 여하에 따라서는 자칫 한중 외교에 중국발 ‘이상기류’가 형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북한과 ‘공산당 대 노동당’ 차원에서 이뤄지는 양국 최고지도자 간 상호 방문의 경우 북한 측 요청으로 일정 등이 ‘초특급 비밀’로 유지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며 이에 대해 우리 정부가 서운해할 수는 있으나 이를 외교문제화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그러나 한중 간 이상기류가 외교전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중국 정부도 일단 ‘절제된’ 표현과 방식으로 불편한 심기를 표출했고 우리 정부도 서둘러 진화에 나섰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의 한 고위당국자는 지난 5일 한국과 중국 사이에 외교적 갈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언론보도와 관련해 “한중 간에는 외교적 갈등이 없다”고 밝히는 등 이상기류 확산을 경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