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황우석 '줄기세포조작' 논란] 靑참모 책임론 불거져

대통령에 보고않고 국책사업 관리부실…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 진위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 참모의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수백억원의 국고가 황 교수팀에 지원되는 과정에서 이를 감독ㆍ통제하고 사후 점검하는 자리에 있는 대통령의 참모가 전반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줄기세포가 오염된 사실을 알고도 대통령에게 보고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이 논란의 핵심이다. 야당은 보고 누락과 국책사업의 사후 관리부실 등을 이유로 김병준 정책실장과 박기영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의 해임을 공식 제시했다. 이계진 한나라당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에서 “박 보좌관은 올 1월부터 오염 사실을 알았으며 김 실장도 사전에 문제점을 알았다”면서 “청와대가 원칙에 입각해서 정확한 조치만 취했다면 사태가 이렇게 커지지 않을 수도 있었다”며 청와대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 대변인은 이어 “청와대는 과잉 홍보를 해놓고 문제점이 드러나자 숨겼다가 결국 축소ㆍ은폐까지 한 것”이라면서 “노무현 대통령이 몰랐을 리 없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청와대 개입과 은폐ㆍ축소 여부에 대해 국민 앞에 해명해야 한다”며 ‘대민 사과’를 요구했다. 민주노동당은 이날 ‘보고 누락’에 대한 대통령의 해명을 요구하면서 김 정책실장, 오명 과기부 장관, 박 보좌관의 해임을 요구했다. 박 보좌관은 1월 황 교수로부터 줄기세포가 오염됐다는 구두보고를 받았으나 노 대통령에게는 공식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박용진 민노당 대변인은 “중요 국책사업이라며 대통령부터 정부 전체가 나선 줄기세포연구사업의 결정적 문제점에 대해 정책라인이 보고를 누락했다는 사실은 그 자체만으로도 큰 문제”라며 “그런데도 노 대통령은 이달 5일 황 교수 논문의 진위 논란과 관련해 ‘이 정도에서 정리하자’며 사실상 진실 은폐 움직임을 두둔하기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보고 누락’과 관련해 “연구과정에서 오염이 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고 오염대체시설을 마련하는 후속조치를 취했다”며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연구성과에 대한 검증을 청와대가 일일이 하기는 어려운 일”이라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