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생경영 외친 카드사, 고금리 현금장사는 지속

상생 경영을 위해 신용 대출 금리를 내렸다던 카드사의 고금리 현금장사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들이 금융 당국의 강력한 규제와 경기 불황으로 수익성이 떨어지자 저신용자들이 몰리는 고금리 대출 비중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는 저신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현금서비스의 수수료 수입비율이 지난해 4분기에 전분기보다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카드의 지난해 4분기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비율은 22.65%로 전분기(22.35%)보다 0.3% 포인트 늘었다. 국민카드는 이 기간에 21.85%에서 22.14%, 신한카드는 23.3%에서 23.56%, 비씨카드는 18.56%에서 18.65%로 증가했다.

신한카드는 전업계 카드사 가운데 유일하게 카드론 수입비율도 높아졌다. 지난해 4분기에 16.24%로 전분기(16.2%)보다 늘었다.


지난해 4분기에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비율이 가장 높은 카드사는 하나SK카드(24.63%)였고 카드론은 현대카드(19.09%)였다. 국민카드는 결제성 리볼빙(21.89%)과 대출성 리볼빙(25.45%) 수입비율이 카드사 중 최고였다.

관련기사



수입비율은 카드사가 현금서비스 등으로 얻은 수익을 연평균 금리로 환산한 것이다. 이 비율이 올라가면 통상 현금서비스 금리도 올라간다.

은행계 카드사들의 고금리 현금장사는 전업계 카드사보다 더 심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4분기 대출성 리볼빙의 수수료 수입비율이 21.78%로 전분기(18%)보다 3.78% 포인트나 급증했다.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도 결제성 리볼빙의 수수료 수입비율이 지난해 3분기 18.7%에서 4분기 22.11%로 3.41% 포인트 증가했다. 씨티은행은 이 기간에 대출성 리볼빙이 26.93%에서 27.07%, 전북은행은 23.19%에서 23.69%, NH농협은행은 25.27%에서 25.39%로 악화했다.

카드론 수수료 수입비율은 부산은행이 지난해 3분기 12.31%에서 4분기 13.55%로 1.24% 포인트나 급증했다. 외환은행은 이 기간에 13.16%에서 13.77%, 농협은행은 12.06%에서 12.28%로 증가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