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음식물처리기 '거품' 많다

처리능력 떨어지고… 전기 많이 먹고… <br>소비자원 성능실험 결과 냉장고보다 소음도 심해


최근 주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음식물쓰레기처리기가 표시된 감량률보다 처리능력이 떨어지고 전기요금도 과다하게 나오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판 중인 건조 방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 11개 모델을 구입해 감량 성능, 전력소비량 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발표했다. 소비자원이 환경부 고시(환경마크 인증 기준)를 적용해 음식물 1㎏ 및 0.5㎏에 대해 감량 비율을 시험한 결과 제품표시나 광고에 제시된 75~90%의 감량 비율과 맞아떨어진 제품은 한개도 없었다. 실제 감량 비율은 최고 79%에 머물렀고 광고에 비해서도 5~27% 정도 뒤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감량이 잘되는 콩나물이나 양파 같은 특정 음식물에 대한 결과를 일반화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업체들이 주장하는 전기요금에도 거품이 많았다. 매달 320㎾h를 사용하는 가정의 경우 전력소비량 상위 4개 제품의 월 평균 소비전력량 59㎾h을 감안하면 추가로 물어야 할 전기요금은 1만6,68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제시한 전기요금 2,000~3,000원과는 큰 격차를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이 밖에 분쇄ㆍ건조 방식 처리기의 소음은 46㏈에 달해 냉장고(30㏈)보다 시끄러울 정도로 사용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소비자원의 한 관계자는 “소비전력량 표시 방법을 월간 기준으로 바꾸고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업체에 감량률이나 소비전력량 등에 대한 객관적인 표시를 통해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권을 보장하고 에너지효율이 높은 제품을 개발해줄 것을 요청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