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SH공사 독점 임대주택 관리 경쟁체제로

서울시, 입주민 참여로 전환


서울시가 공급 일변도의 임대주택 정책을 수요자 중심의 관리 정책으로 전환한다. 특히 SH공사가 맡아온 임대주택 관리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임대주택 단지에도 세대별 소셜 믹스를 적용한다.

서울시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임대주택 종합개선대책'을 발표했다.

시는 이번 방안을 토대로 2014년까지 47개 사업지에 844억원의 재정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개선대책의 세 축은 ▦참여마을 ▦활력마을 ▦자립마을 등이다.

관련기사



우선 시는 '참여마을' 조성을 위해 그동안 SH공사가 독점해온 임대주택 관리를 주민 참여 방식의 경쟁체제로 전환하겠다는 입장이다. SH공사에 임대관리를 맡기지 않고 입주민 스스로가 협동조합형 마을기업을 설립해 관리를 주도하는 방식이다. 또 분양ㆍ임대 혼합형 단지에는 임차인의 참여를 제도화한다.

단지 시설물에 대해서는 24시간 상시 수선 체계를 구축하고 공공ㆍ재개발ㆍ국민임대 거주 기초생활수급자 5,834가구의 임대료를 20% 인하하기로 했다.

'활력마을' 조성을 위해서는 영구임대주택에 다양한 소득ㆍ연령층이 입주해 활력 있는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수급자와 장애인 등이 입주 대상인 영구임대주택을 공가가 발생한 국민ㆍ공공임대주택에 교차 이주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신혼부부나 세 자녀 가구 등이 입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세대주 사망 등으로 퇴거 위기에 놓인 가구를 다른 임대주택으로 이주시키고 수급자 자립발판 마련을 위해 자활특례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자립마을' 조성을 위한 노력도 이어진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주거복지 공동체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더불어 사는 임대아파트, 따뜻한 정을 나누는 공동체 아파트' 형성을 위해 2014년까지 대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