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비(雨) 그만!” 기청제(祈晴祭) 3일 열려

국립민속박물관 3일 오전 10시30분…폭우 그치길 기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이 한 달 이상 계속된 장맛비와 폭우가 그치기를 기원하는 ‘기청제(祈晴祭)를 3일 오전 10시30분 박물관 내 오촌댁 옆에서 거행한다. 기청제는 요즘처럼 장맛비와 폭우가 계속돼 흉년이 예상될 때 날이 개기를 빌던 제사로 ‘기우제(祈雨祭)’의 반대 개념에 해당한다. 국장(國葬) 등 특별한 행사가 있을 경우 종묘와 사직에서 날씨가 맑기를 빌기도 했지만 수재(水災)를 당했을 때에도 이를 쫓기 위해 기청제를 거행했다. 재앙을 막는다는 뜻에서 기청제는 ‘영제(禜祭)’라 불렸다. 수많은 사람들이 문을 드나들면서 외부의 적을 막는다는 의미에서 성문(城門)에서 기청제가 열렸다. 조선시대에는 도성의 4문인 숭례문(崇禮門)ㆍ흥인지문(興仁之門)ㆍ돈의문(敦義門)ㆍ숙정문(肅靖門)과 지방의 성문에서 기청제(祈晴祭)를 거행했다. 비를 조절한다는 동서남북 각 방위의 산천신(山川神)에게 지내는 것. 기청제는 사흘 동안 지냈는데 그래도 비가 그치지 않으면 3차에 걸쳐 다시 행하고, 최종적으로는 왕이 직접 종묘나 사직에 나가 기청제를 지냈다. 조선시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따르면 한성부는 사대문에서, 지방은 성문에서 기청제를 지냈다. 처음에는 성문 안에서 기청제를 지냈으나, 동문(同門ㆍ흥인지문)이 물에 침수된 이후로는 문루에서 거행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기청제에 대한 기록이 등장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