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울산기업 67% "휴일근로 제한 안돼"

商議 조사… 50% "생산성 저하·근로자 임금 축소돼 반대"

울산지역 기업의 3분의2가 정부의 휴일근로 제한방침에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상공회의소는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시켜 사실상 휴일근로를 제한하기로 한 고용노동부 방침에 대해 지역기업체 128곳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67.2%(86곳)가 부정적인 견해라고 5일 밝혔다.


이번 설문 조사결과 '휴일근로가 사라지면 생산성도 낮아지고 근로자의 임금도 축소돼 반대한다'는 의견이 50%로 가장 많았고 '아직은 비현실적이며 절충안 및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17.2%로 뒤를 이었다.

또 휴일근로 제한에 따른 임금손실에 대해서는 '생산량이 축소된 만큼 임금보전은 불가하다'는 입장(58.5%)이 지배적이었으며 근로시간 감소에 따른 생산량 축소 극복방안으로는 '현행설비 및 인력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생산량 유지하겠다'는 입장의 업체(44.5%)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휴일근로 제한이 노사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줄어든 임금을 보전 받으려는 노조의 요구로 노사관계가 불안해 질 것'이라는 반응이 71.1%이었고 '매출감소와 수익성 악화로 지역경제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도 55.5%에 달했다.

관련기사



응답 업체의 평소 휴일근로 실태는 82.8%가 납품기일을 지키기 위해 휴일 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며 월평균 2~3회 실시하는 업체도 47.1%에 달했다.

특히 울산지역의 주력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 업계의 경우 경기변동에 따른 수주물량의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 휴일근로 제한에 따른 추가적인 설비증설과 인력확충이 불가피하며 이로 인해 향후 경기변동 시 주문량 감소로 심각한 경영난에 처하게 될 우려 등의 부정적 입장이 타 업종에 비해 훨씬 높았다고 울산상의는 분석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에는 지역기업체 128개사가 참여했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 101개사(79%), 비제조업 27개사(21%), 규모별로는 50인 미만 46개사(36%), 300인 미만 66개사(51%), 300인 이상 16개사(13%)가 각각 참여했다.

김영동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