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새정부 경제팀 누가 거론되나] ‘안정내각’ 원칙 관료중용 가능성

대통령직 인수위의 국민제안센터에 장관추천이 쇄도하면서 새 정부의 경제팀 진용이 어떻게 짜일 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새 정부의 경제팀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안정 내각` 인사원칙과 현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유지 방침에 따라 행정경험이 많은 관료 중심으로 인선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새 정부에서 재벌 등 경제분야가 개혁의 1차 대상으로 꼽힐 것이란 전망이 유력해지면서 강력한 개혁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학계 출신 인사들이 새 정부 경제팀에 중용되거나 정치인의 경제분야 입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제팀 수장으로 꼽히는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에는 추진력과 개혁마인드를 가지고 경제팀 내의 원만한 의견조율을 해낼 수 있는 인사가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노 당선자의 정치인 입각 배제 원칙에도 불구하고 실물경제와 경제이론에 밝은데다 지난 대선기간 노 당선자의 핵심 경제참모였던 정세균 민주당 정책위 의장이 0순위로 부각되고 있다. 재정경제부 차관과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을 역임했고 현재 인수위 부위원장이기도 한 김진표 국무조정실장도 새 정부에서 각 행정부처의 정책을 총괄조율하게 될 청와대 정책기획실장을 맡지 않으면 경제부처 장관 발탁이 유력하다. 중량감 있는 경제관료 출신으로는 이기호 대통령 경제특보가 경제부총리 물망에 오르고있다. 학계인사로는 정운찬 서울대 총장이 개혁성ㆍ참신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있으나 여러가지 여건을 감안, 고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대중 대통령의 `DJ노믹스` 산실역할을 한 중경회 핵심멤버로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김태동 성균관대 교수(현 금융통화운영위원) 등도 거론되고 있다. 또 부총리로 승격되기 이전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낸 강봉균ㆍ이헌재 전 장관도 경제부총리 후보군에 속한다. 새로운 성장동력 개발이란 무거운 책임을 맡게 될 산업자원부 장관에는 정세균 의장이 경제부총리를 맡지 않을 경우 낙점될 가능성이 크다. 현역 의원 배제 원칙을 따르면 현 정부에서 김영호 경북대 교수가 산자부 장관에 오른 사례에 비춰 인수위 경제2분과(산업ㆍ통신 등 담당) 간사로 활동중인 김대환 인하대 교수가 산자부 장관 후보군에 올라 있다. 기업인을 기용할 경우 윤종용 삼선전자 부회장 등이 검토 대상이다. 미래 정보통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청사진을 마련할 정보통신부 장관으로는 정보통신분야 전문가로 민주당 제2정책조정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효석 의원이 유력하다. 지난 대선에서 인터넷 선거를 주도한 허운나 민주당 의원이 여성장관 몫으로 등용되거나 김대환 교수가 발탁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재벌개혁의 선봉에 설 공정거래위원장으로는 경북 울진 출신의 행시 12회로 통계청장을 지낸 윤영대 현 공정위 부위원장이 지역안배 차원에서 승진 가능성이 높다. 또 재벌개혁의 가속도를 높이기 위해 인수위 경제1분과(재정경제ㆍ금융ㆍ공정거래 등 담당) 간사인 이정우 경북대 교수가 발탁돼 재벌개혁을 진두지휘할 것이란 시각도 흘러나오고 있다. 금융구조조정의 고삐를 죌 금융감독위원장에는 금융시장을 잘 알고있는 김정태 국민은행장과 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가 물망에 오르고있다. 국민의 정부에서 금감위 부위원장을 역임했고 노 당선자의 핵심 경제 자문역을 지낸 윤원배 숙명여대 교수도 거론되고있다. 민주당 정책위 수석전문위원을 거친 유지창 금감위 부위원장의 승진을 점치는 견해도 나온다. <구동본기자 dbkoo@sed.co.kr>

관련기사



구동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