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은 2~3%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의 강력한 투기억제 정책에 따라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데다 다 주택자의 양도세 중과를 피하기 위한 매물 역시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낮은 금리와 가격 하락에 대한 저항감이 강해 주택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약 보합 수준 전망 많아=
주택관련 연구소, 컨설팅 업체들은 하반기 주택시장이 당초 예상과 달리 낙폭이 크지 않고 약 보합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택거래신고제와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개발이익환수제 도입으로 거래 위축 등 시장 전반에 적지않은 타격이 예상되지만 주택가격의 급격한 하락은 없을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 부동산 정보 업체인 닥터아파트가 최근 아파트 시세를 분석한 결과 올들어 지난 1~6월 중 서울지역 아파트 값은 3% 정도 상승했다. 경기지역 아파트 값은 0.59% 올랐으며, 전국적으로 1.8% 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지만 10.29 대책 이후 정부의 고강도 안정대책에 따라 집값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란 당초 예측이 빗나갔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하반기에 저금리가 지속되거나 인상 폭이 크지 않을 경우 주택 수요가 급감할 가능성은 적다”며“안정대책의 본격적인 효과가 나타나더라도 서울ㆍ수도권의 하반기 주택가격은 마이너스 2~3% 정도의 약 보합 선에서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해 말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 상반기 서울 집값 상승률을 0.1% 정도로 예견했지만 지난 3월 2% 정도로 전망치를 올렸다. 건설산업연구원의 김현아 부연구위원은 “상반기 상승률이 예상치를 웃돌아 다음달 말 하반기 변동률을 다소 조정할 계획”이라며“올해 연 2% 정도 하락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 변동 폭 차이 클 듯=
최근 시장 전반에 매수세가 줄어 들고 거래 위축에 따른 급매물이 일부 나오는 것은 사실. 하지만 개발 호재를 갖춘 지역의 호가가 하락 반전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로 집값 차이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울지역 가운데 용산구가 대표적이다. 경부고속철도 용산 민자 역사 개통과 미군기지 이전 등 개발 재료에 힘입어 상반기 집값 상승률이 8.3%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사실상의 천도(遷都)인지, 아닌지의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신행정수도 이전 후보지인 충청권 주택가격도 크게 올랐다. 당초 후보지 물망에 오른 오송ㆍ오창지구를 필두로 충북지역은 5.3% 상승했으며 충남 3.6%, 대전 3.4% 등이 뒤를 이었다.
주택도시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의 강남, 용산 등과 신행정수도 후보지 주변 등 투자 가치와 이주 수요에 따라 하반기에도 지역별 편차가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파주, 판교 일대 등 신도시 개발지역의 집값 역시 상승 폭은 크지 않지만 꾸준한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