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8월 9일] 이란·리비아 사태 후유증 최소화를

정부와 이란ㆍ리비아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미국이 주도하는 이란 경제제재로 이란에 진출한 건설업체와 제품을 수출하는 철강ㆍ화학업체, 원유를 수입하는 정유업체들은 사업 차질에 따른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 한국 정부에 이란 멜라트은행 서울지점의 자산동결 등 강력한 조치와 독자적인 제재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업들의 걱정은 커지고 있다.

리비아 역시 국정원 직원의 '스파이 사건'을 계기로 우리 정부와 외교 마찰을 빚으면서 리비아에 진출한 건설업체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이란은 한국 기업의 중동 지역 최대 수출시장이고 리비아는 세 번째로 큰 해외건설시장이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에 미칠 파급 효과는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5년에는 한국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란 제재 결의안을 지지하자 이란 정부가 6개월간 한국 제품의 수입을 중단했던 아픈 경험도 있다.

관련기사



특히 이란 제재 문제의 경우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외교적 입장과 기업들의 피해를 막아야 하는 경제적 입장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어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각국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외교 무대에서 자국의 경제적 이익만 따지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현재 중소기업과의 상생 및 사회적 책임과 관련해 정부와 정치권의 협공을 당하고 있는 기업들은 중동발 외교문제까지 불거지며 한마디로 '내우외환'의 상황에 빠졌다. 중소기업 상생이나 사회적 책임 논란은 기업들이 일정 부분 원인을 제공한 측면도 없지 않다. 하지만 이번 이란 및 리비아 사태는 국가 간의 외교 문제에서 비롯된 만큼 기업에 미칠 여파와 후유증을 최소화해야 한다.

기업 활동의 가장 큰 적은 불확실성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 이란 및 리비아 문제가 기업들의 글로벌 전략에 미칠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국내에서 기업에 대해 비판할 것은 비판하더라도 해외에서는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앞장서 야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