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민銀 인력 구조조정 내년으로 넘어갈듯

카드노조 위원장 재선거·구조조정 문제 이슈 부상<BR>노사협의과정 난항 예상

강정원 행장 취임 이후 주요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국민은행의 인력 구조조정이 해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은행 3개 노조 중 하나인 국민카드지부 위원장 선거가 다시 치러져야 하는데다 선거과정에서 ‘구조조정 최소화’가 이슈로 부상해 노사협의 과정에서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20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주 실시된 국민카드지부 위원장 후보 선거에서 과반수를 넘긴 후보가 없어 오는 24일 이전에 재선거를 치르게 됐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 새 노조 지도부와 사측간의 노사협의가 연말까지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국민은행의 한 관계자는 “국민카드지부의 위원장 선거가 5영업일 이내에 다시 치러져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지도부의 출범이 1주일 정도 늦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노조위원장 선거과정에서 ‘구조조정 최소화’가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점도 노사간 타협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금융계에서는 국민은행의 명예퇴직을 포함한 인력조정 인원이 최소 3,000명에서 최대 7,000명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상 해마다 500명 안팎의 명예퇴직을 실시해온 국민은행 입장에서 인력구조조정에 따른 성과가 있었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최소한 10% 이상의 절감이 필요하다는 시각 때문이다. 특히 일부에서는 강 행장이 이끌던 서울은행이 전체 인원의 30%에 가까운 1,000여명의 명예퇴직을 실시했다는 점, 한빛은행과 상업은행의 합병과정에서 전체 1만5,000여명의 직원 가운데 3분의1에 해당하는 5,000여명이 물러났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명퇴 규모가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민은행 직원의 평균연령이 40세에 가까워 금융권 전체의 평균연령에 비해 다소 높다는 점도 구조조정의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걸림돌도 만만찮다. 새 위원장 취임과 함께 내년 초 통합되는 국민은행 노조가 ‘구조조정 차단’을 최대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 또 최근 경기침체와 함께 실업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명예퇴직이 고용안정에 최우선을 두고 있는 정부의 정책 목표와 배치되는 점도 부담이라는 지적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강 행장이 취임 일성으로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을 한 만큼 새 노조 지도부 출범과 함께 구조조정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인력 구조조정이 출범 초기 강력한 추진력을 보이고 있는 강정원호의 순항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