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신행정수도 대안 3가지로 압축

행정특별시, 행정중심도시·교육·과학도시…내년 2월까지 확정

신행정수도 건설 무산에 따른 후속 대책이 행정특별시, 행정중심도시, 교육ㆍ과학 행정도시 등 3개안으로 압축됐다. 신행정수도후속대책위원회(공동위원장 이해찬 총리ㆍ최병선 경원대 교수)는 17일 오후 중앙청사에서 제2차 회의를 열고 후속 대안 수립 원칙으로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 내용 반영 ▦수도권 과밀해소와 국가 균형발전에 구심적 역할 ▦충남 연기ㆍ공주 지역의 입지적 우월성 활용 ▦중앙행정기관의 이전을 포함해 자족성을 갖출 수 있는 도시 ▦후속대책과 국가균형발전 병행 추진 등 5가지를 정했다. 이 원칙에 따르면 지금까지 각계에서 제기된 10개 대안 가운데 실현 가능성이 높은 유력 대안은 3~4개 정도로 좁혀질 전망이다. 지금까지 대책위 및 전문가들은 ▦청와대와 국회를 제외한 행정기관이 이전하는 ‘행정특별시’안 ▦청와대와 외교안보 부처를 제외한 행정기관이 이전하는 ‘행정중심도시’안 ▦교육부총리와 과학기술부총리 산하 부처 및 관련 공공기관이 옮겨가는 ‘교육ㆍ과학행정도시’안을 비중 있게 검토해 왔다. 최병선 위원장은 “오늘 마련한 원칙을 토대로 3~4개로 유력대안을 압축한 후 내년 2월까지 국회와 함께 최종안을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