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근혜 대통령 지지도 추락… 속 타는 청와대

인사 사고 잇따르자 '국정수행 부정적' 평가가 '긍정' 답변보다 5%P 높아

文, 사퇴요구에도 요지부동


연이은 '인사 사고'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지지도가 추락하고 있다. 안대희 총리 후보자 사퇴에 이은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와 송광용 신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 등 최근 내정된 정부 고위직 인사들과 관련된 논란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사실상 자진사퇴 권유를 거부하고 있는 문 후보자에 대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가운데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또 지난 4월27일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국무총리가 두 달 가까이 직무를 수행 중이며 국정원장직도 한 달째 공석으로 비어 있는 등 국정공백 상태도 길어지고 있어 박 대통령 귀국(21일) 이후 청와대의 선택이 주목되고 있다. 문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한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결국 선택은 대통령의 몫"이라며 "대통령의 선택을 돕기 위해 각계의 여론을 전달하는 데 충실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20일 여론조사기관인 한국갤럽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적 평가 비율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긍정 평가를 넘어섰다. 한국갤럽이 지난 17~19일 전국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여론조사(신뢰수준 95%±3.1%포인트)에서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48%를 기록해 긍정 평가(43%)보다 5%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 실시한 여론조사에 비해 부정평가 비율이 5% 포인트 상승했고 긍정 평가는 4% 포인트 하락했다. 부정적 평가의 이유로 '인사 문제'를 지적한 비율이 지난주 20%에서 이번주 39%로 급증하는 등 문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부정 평가 상승의 주원인이라는 게 한국갤럽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 비율은 3~4월 50%대 후반을 유지하다 4월16일 세월호 참사 이후 10%포인트가량 하락했고 4월 마지막 주부터 지난주까지 40%대 후반에 머무르다 이번주 들어 추가로 하락했다.

취임 초인 지난해 1·4분기에는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이 줄줄이 낙마한 영향으로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 비율이 42%로 최근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그래도 부정 평가 비율은 23%에 그쳤었다. 1년 새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여당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추가적인 국정공백 장기화 및 여론 악화를 막기 위해 문 후보가 자진사퇴를 거부할 경우 결국 지명을 철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인사 실패'를 인정하는 모양새가 돼 정치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