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환위기에 정부규제도 강화/조기유학·어학연수 “찬바람”

◎신청·상담 작년 절반수준 그쳐/“구제금융 받는 마당에…” 자성도증시폭락과 환율급등에따른 외환위기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까지 받게 되자 해외유학 학원가에도 자성의 기운이 일고 있다. 취업대비를 명분으로 서민층 자녀에게까지 번졌던 대학생 어학연수바람도 한풀 꺾이고 있으며 유학 신청·문의도 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지난 2월 외국환관리규정이 개정돼 중고생 유학에 대한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연간 2천여명에 달했던 중고생의 유학 신청이 거의 사라졌다. 24일 종로구 관철동에 있는 「명문유학원」에 따르면 1월 또는 9월에 학기가 시작되는 미국 대학에 지원을 하려면 보통 1년전인 10∼11월에 수속을 밟는 데 올해는 유학상담 또는 지원신청이 지난해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다. 관철동의 또 다른 유학학원인 「한독센터」관계자는 『명퇴(명예퇴직), 조퇴(조기퇴직)가 늘면서 부모 부담이 가중되자 유학 또는 어학연수에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호주나 캐나다 처럼 아르바이트가 법적으로 보장되거나 부업 자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 좋은 나라를 택하려는 학생이 많다』고 말했다.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입사를 위한 면접에서 영어회화가 필수과정으로 여겨져 서민층 자녀까지로 번지던 어학연수바람도 수그러 들고 있다. 종로·영등포에 지점을 두고 있는 「글로리유학본부」는 환율 급등 이후 어학연수 문의가 4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리유학본부」 관계자는 『어학연수 문의가 보통 하루 20∼30명씩 있었으나 환율급등 이후에는 10건 내외로 크게 줄었고 연수를 신청한 후 취소하는 사례도 빈번하다』고 말했다. 강남구 논현동 「미국유학원」도 예년의 경우 어학연수에 대한 문의가 하루 30∼40건 있었지만 외환파동이 일면서 문의가 끊긴 상태다. 세계화 바람이 일면서 크게 늘어난 조기 유학·연수 바람도 가라앉고 있다. 지난 2월 외국환 관리규정이 개정되면서 중고생 유학생에게는 송금이 불가능하고 1년이상 경과시 여권연장도 할 수 없게되는 등 통제가 대폭 강화된 데다 환율까지 급등, 사회분위기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학협회 김진곤 사무국장은 『지난 95년 3월∼96년 2월까지 중고생 유학 신청자가 2천2백여명에 달한 것으로 추정됐으나 조기 유학 통제 강화, 불황 지속, 환율 급등 등으로 지난 3월이후엔 중고생의 유학신청은 거의 사라진 것 같다』고 말했다.<오현환·이학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