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건설사 어찌할꼬" 대기업 냉가슴

돕자니 횡령·배임 우려… 두자니 계열사 실적 악화 직격탄<br>"GS건설 쇼크 재연 막자" 부실채권 정밀 재조사 등 대응책 마련 전전긍긍<br>총수 일가 지분 많아 후폭풍땐 지원 불가피


두산건설이 최근 끝난 유상증자 청약금 납입에서 3,900억원 가량의 자금을 확보했다. 두산그룹의 전폭적인 지원하에 실시된 유상증자를 통해 두산건설은 일단 급한 위기를 넘기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GS건설 실적 쇼크'처럼 또 다른 '건설발 후 폭풍'이 몰아치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설상가상으로 계열사 지원을 놓고 횡령과 배임 등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보니 주요 그룹들이 전전 긍긍하고 있다.


16일 건설사를 보유한 주요 그룹들에 따르면 GS건설 실적 쇼크에서처럼 제2ㆍ제3의 건설발 후 폭풍이 발생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그룹들의 경우 자사 건설사 등을 상대로 잠재 부실채권 여부 등에 대해 재정밀 조사를 벌이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A그룹 관계자는 "지난해 자사 건설사로부터 저가 수주 공사,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규모 등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며 "하지만 건설ㆍ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해외 건설ㆍ플랜트 경기도 살아나지 않으면 추가 부실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그룹 외에도 다른 그룹들도 자사 건설사를 대상으로 허위로 부실채권을 보고했는지 여부 등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제는 건설사 지원에 선뜻 나서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동부그룹ㆍ두산건설ㆍ한라건설 등이 잇따라 건설사 살리기에 나섰다. 추후에 이것이 계열사 부당 지원 등 횡령ㆍ배임으로 몰릴 소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전경련 고위관계자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들의 횡령ㆍ배임의 경우 주주의 지위를 활용, 계열사를 부당지원해 손해를 끼쳤다는 것이 핵심"이라며 "건설사 지원의 경우도 '코에 걸면 코걸이'로 이 같은 오해의 소지를 받을 여지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모 그룹은 유상증자 등 자사 건설사 지원을 검토했으나 추후로 미룬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계열사 지원을 정당한 경영행위로 보기보다는 오너 및 특수관계인들의 배임 및 횡령으로 보는 시각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제2ㆍ제3의 건설 후 폭풍'이 발생할 경우 그룹 입장에서는 적극 나서서 도와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건설사 부실이 해당 그룹 오너 및 주요 계열사의 실적 악화로 직결되는 구조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요 건설사의 지난해 말 기준 지분현황을 보면 총수 일가와 주요 계열사들이 상당 부분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두산건설의 경우 주력 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이 72.7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특수관계인도 5.3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동부건설 역시 김준기 회장이 30.59%로 대주주다. 실적 쇼크로 시장에 충격을 준 GS건설도 허창수 회장이 11.8%로 1대 주주다. 그 외 특수관계인 13인이 17.63%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건설 역시 현대자동차(20.93%), 기아자동차(5.23%), 현대모비스(8.72%) 등이 주요 주주로 올라와 있고 한화건설의 경우 ㈜한화가 100%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삼성물산 역시 삼성SDI가 7.18%, 이건희 회장이 1.3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다. SK건설 역시 지주회사인 SK㈜가 40.02%의 많은 지분을 갖고 있다.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