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국 신용등급 상향이냐 하향이냐

S&P "美사태, 아·태국가에 부정적" 전망속<br>정부선 "외환보유고 충분·수출품 경쟁력 크다"


미국에 이어 프랑스 신용등급 하락 우려마저 제기되자 우리나라 신용등급의 향방을 놓고도 냉기류와 온기류가 교차하고 있다. 미국 신용등급을 깎아내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이번에는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경기침체, 유동성 위험 가능성을 경고하는가 하면 우리 정부가 풍부한 외환보유고 등을 적극 홍보하며 발 빠른 진화에 나서고 있다. 11일 S&P는 아태 지역 국가들의 신용등급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 "미국 신용등급 변화와 유럽 국가신용에 대한 신뢰도 약화가 겹치면서 불확실하고 위험한 환경이 발생하고 있다"며 "약화된 자금시장과 더딘 성장, 높은 위험 회피 성향 등은 아태 지역 국가신용등급에 부정적 요소"라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S&P와 우리 정부 간 연례협의가 이르면 다음달 열릴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발표된 것이어서 귀추를 모으고 있다. S&P는 보고서에서 아태 지역 국가들이 견고한 내수와 양호한 기업 및 민간 분야, 풍부한 외부 자금, 높은 국내 저축률 덕분에 안정적 신용등급 전망을 받아왔지만 최근 선진국 경제의 붕괴와 세계시장의 연관성으로 등급 전망에 변화가 초래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S&P는 특히 우리나라와 대만ㆍ일본ㆍ태국을 수출의존형 국가로 분류하면서 "수출 의존형 국가들이 유럽과 미국의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고 내다봤다. 수출의존형 국가의 미국ㆍ유럽 의존도가 높은데 앞으로 수출 가격 하락과 수요 감소로 경제침체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우리 정부는 신용등급 전망에 대해 비교적 낙관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획재정부의 한 간부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에 투자할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은 외환보유고와 대외채무 규모, 재정건전성인데 세 가지 항목 모두 양호하다"며 "북한 문제 등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만 아니었다면 이미 신용등급이 상향조정됐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최종구 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과 김재천 한국은행 부총재보 등 정부 및 금융통화감독당국의 차관보급 인사들도 11일 외신기자클럽에서 외신을 상대로 간담회를 열고 불안심리 차단에 나섰다. 최 차관보는 "많은 분들이 대한민국 경제가 수출에 의존해 세계 경제 하강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하지만 우리의 주요 수출품은 전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는 제품들"이라며 "그런 품목들은 (세계의) 경제가 어려울 때 다른 경쟁자를 따돌리고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김 부총재보도 "우리나라 수출의 70%이상이 이머징마켓(신흥시장)으로 가고 있고 미국의 비중은 10% 정도"라며 "이머징시장은 경제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우리 수출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