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복입기·절하기] 작은 무늬·화려한 한복 입으면 키 커보여요

● 한복입기

목 짧거나 굵은 체형은 앞깃 길게 내려오도록

● 절하는법

남성은 왼손이 오른손 위로 여성은 오른손이 왼손 위로

/사진제공=듀오웨드(류한복)



갑오년 '청마해'의 첫 명절인 설이 다가왔다. 온 가족이 모인 자리에서 명절 분위기를 띄우는 데는 한복 만한 옷이 없다. 하지만 한복을 입을 기회가 극히 드물어진 요즘에는 올바른 한복 차림새를 기억하는 이가 적다. 고운 한복을 바르게 차려입고 예를 갖추는 법을 기억한다면 설 명절을 보다 뜻깊게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의 한복 입기=여성 한복은 계절과 체형을 고려해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주로 양단과 공단, 실크 등으로 치마 저고리를 지어 입는다. 겉에 두루마기나 털배자를 갖출 경우 보온성이 뛰어나고 격식에도 알맞다.

한복을 고를 때는 자신의 체형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목이 짧거나 굵은 체형일 경우 깃을 좁게 하고 앞깃 길이가 길게 내려오도록 만드는 게 좋다. 저고리와 치마를 같은 색으로 하고 깃과 고름으로 악센트를 줄 경우 체형이 한결 작아 보인다. 작은 무늬를 이용해 화려한 느낌이 들도록 하면 키가 커 보이는 효과가 난다.

속바지와 속치마를 갖춰 입으면 한복의 전체적인 선이 아름답게 살아날 뿐 아니라 보온성도 높여준다.

한복을 입을 때에는 먼저 속바지를 입은 뒤 속치마를 입는다. 속치마를 입은 뒤 버선을 신는데 이때 버선의 양 수눅(꿰멘 솔기)이 중앙을 마주보도록 기울어지게 신어야 한다.


치마는 겉자락을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오른편 쪽 치마가 겉으로 오게 입는 게 올바른 착용법이다. 치마가 겹치는 폭은 뒤에서 보았을 때 한 뼘 정도가 적당하다. 치마 끈은 뒤쪽에서 엇갈려 앞으로 오게 한 다음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매듭을 짓는다.

관련기사



저고리를 입을 때에는 어깨선을 약간 앞으로 오게 해서 입는다. 앞섶을 약간 아래로 당겨 동정이 뒷목에 닿도록 하면 맵시가 살아난다. 고름은 맸을 때 두 개의 길이가 1~2cm정도 차이가 나는 것이 알맞다. 저고리를 입을 때 진동 날개 부분이 뜰 경우 안쪽으로 접어서 정돈해 준다.

한복을 입었을 때는 이목구비가 두드러지는 짙은 메이크업보다 자연스럽고 가벼운 메이크업이 적당하다.

◇남성의 한복입기=남자의 경우 바지를 먼저 입는다. 바지를 입을 때는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둘레를 조절한다. 바지 허리를 잡고 오른쪽으로 바짝 당겨 당긴 부분을 왼쪽으로 포개어 매듭이 앞으로 오도록 허리끈을 매 준다.

버선을 신은 다음 대님으로 묶어준다. 이 때 윗부분을 밑으로 잡아 당겨 모양을 잘 정리해 주는 게 중요하다. 대님을 정리한 뒤에는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순으로 갖춰 입는다. 저고리를 입을 때에는 안감의 띠를 먼저 묶은 뒤 고름을 매면 된다.

◇한복 보관하기=명절에 입었던 한복 보관은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먼저 한복을 깨끗이 털어 먼지를 제거한 후 개어서 정리한다. 금·은박 장식이 된 부분은 부드러운 한지를 사이사이에 끼워 넣어 문양이 뒤틀리거나 닳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만약 얼룩이 진 상태라면 보관하기 전에 처리를 해야 한다. 얼룩을 오랫동안 방치할수록 원단이 상하기 때문이다. 오염된 부위에 타올을 두세 겹 바닥에 깔고 얼룩이 뭍은 쪽의 반대편은 타올에 닿도록 놓는다. 벤젠을 솜 뭉치에 묻힌 후 타올에 얼룩이 완전히 묻어나올 때까지 이리 저리 뒤집어 가며 두들기거나 누르며 빼면 된다. 이 방법을 시도하기 전에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을 먼저 시험한 후 옷감이 상하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 과정이 번거로울 경우 한복 전문 드라이크리닝에서 대행하는 세탁 서비스를 활용해도 좋다.

◇올바른 절 자세=절은 평절과 큰절이 있으며 여성만 절 자세가 다르다. 남성이 절할 때는 우선 바른 자세로 서서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잡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 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에 올라가는 것이 맞다.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그 다음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 위에 포개서 앉는다.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도록 한 뒤 얼굴이 손까지 내려올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이때 엉덩이가 위로 들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절한 뒤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 뒤 일어나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여성이 큰절을 올릴 때는 바른 자세로 손을 앞으로 모은 상태에서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 남성과 반대로 오른손이 왼손 위에 가도록 포갠다. 포갠 양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그 후 왼쪽, 오른쪽 순으로 무릎을 구부린 후 오른발이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개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손등을 이마에 꼭 붙인 상태에서 윗몸을 45도쯤 앞으로 굽혀 절한다. 잠시 머무른 후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워 일어나 발과 손을 가지런히 모은다.

여성이 올리는 평절은 큰절과 거의 같지만 두 손을 이마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양 옆으로 해 손끝을 바닥에 짚는 것이 다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