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한미 FTA 효과, 민관협력에 달렸다

유럽에 이어 내년부터 발효되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제가 뒷받침돼야 한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9일 자동차ㆍ반도체 등 주요 업종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어 "내년 세계경제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우리 경제가 성장을 지속하려면 국내 기업들이 한미, 한ㆍ유럽연합(EU) FTA를 활용해 수출시장을 넓혀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FTA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제불안이 장기화될 공산이 큰 상황에서 FTA를 통해 우리의 경제영토를 엄청나게 넓힌 것은 우리 경제의 큰 강점이다. FTA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까지는 4~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FTA의 효과는 전적으로 우리의 활용능력에 달려 있다. FTA의 내용 및 제도변화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점을 극대화하고 취약한 부분은 최소화할 때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FTA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FTA 특혜관세 활용도는 대기업의 경우 26.4%, 중소기업은 16.3%에 불과하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회원국인 미국ㆍ캐나다ㆍ멕시코 기업들의 평균 활용률이 64%에 달하는 것과 비교할 때 FTA 활용능력이 크게 취약한 실정이다. 이 같은 상태가 지속될 경우 자칫 '스파게티볼(Spaghetti Bowl) 효과'로 FTA의 이점을 누리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여러 국가와 FTA를 체결했지만 국가마다 서로 다른 원산지규정ㆍ통관절차ㆍ표준 등이 스파게티처럼 얽히면서 FTA 활용률이 저하되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최악의 상황을 방지하고 FTA를 경제활성화의 계기로 삼기 위해서는 정부 및 정부와 유관기관의 지속적인 교육 및 정보제공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기업의 건의 또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의견교환의 기회를 갖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정부와 자자체가 공동 운영하는 'FTA활용종합지원센터'가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내실화하는 것도 방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