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관조사단 "큰빗이끼벌레 금강 수 생태계에 악영향"

금강 유역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가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충남도 큰빗이끼벌레 민·관공동조사단(단장 허재영 대전대 교수)은 11일 충남발전연구원에서 중간보고회를 열어 큰빗이끼벌레가 살아서는 물속 용존산소를 바닥내고 죽어서는 암모니아성질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지난달 17일 금강 공주보에서 큰빗이끼벌레 검사대상물을 채취해 금강물과 증류수가 각각 든 50ℓ 반응조 4개에 큰빗이끼벌레 0.5∼2%를 넣고 용존산소(DO)와 암모니아성질소(NH3-N) 농도변화, 생태독성 등을 실험했다.

실험 결과 큰빗이끼벌레 2%를 넣은 수조 속 금강물은 용존산소가 최초 11.2mg/ℓ에서 42시간 이후 0mg/ℓ의 상태로 악화했다.


1.0%의 큰빗이끼벌레를 넣은 금강물은 52시간 만에 용존산소가 바닥났으나 8일째부터 소폭 상승했고, 증류수는 용존산소 0mg/ℓ 상태가 유지됐다.

관련기사



죽은 뒤 발생하는 암모니아성질소 농도는 큰빗이끼벌레 투여량과 관계없이 58∼64시간 사이 2배가량 증가했다. 2%의 큰빗이끼벌레를 넣은 금강물은 처음 0.044mg/ℓ이던 암모니아성질소가 20일 후 11.756mg/ℓ까지 치솟았다.

큰빗이끼벌레 1%를 투입한 금강 물 역시 18일째 9.958mg/ℓ까지 암모니아성질소 농도가 오르고, 0.5% 투입 금강 물은 16일째 4.964mg/ℓ로 가장 짙은 농도를 보였다.

보고자로 나선 충남발전연구원 이상진 박사는 “이번 실험은 물의 흐름이 없는 반응조에서 모의로 진행했기 때문에 금강의 조건과는 다소 다를 수 있다”면서도 “정체수역에서 대량 번식한 큰빗이끼벌레가 사멸할 경우 살아서는 용존산소 부족을, 죽어서는 암모니아 농도 증가 등을 가져와 수중 동·식물 서식환경에 많은 지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큰빗이끼벌레 발생 억제를 위한 금강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큰빗이끼벌레는 북미지역과 일본, 우리나라, 유럽 일부 국가에서 발견되는 태형동물로 주로 물의 흐름이 느린 곳에서 대량 성장하는 특성이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