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울산 인쇄업계 "고사위기"

규제 묶여 공장증설·설비도입등 신규투자 불가능<br>"인쇄출판단지 조성이 대안" 내달 추진위 발족 본격활동


“이대로 가다간 울산의 인쇄출판업체가 거의 고사될지도 모릅니다.” 울산시 남구 신정 5동에 자리잡은 일명 ‘인쇄골목’. 지난 12일 오후 이곳에서 만난 인쇄업자 M모(50)씨는 “새 장비를 들여 놓아야 하는데 법규제 때문에 사업장 증설도 못하는데다 이곳을 떠나 다른 곳에서 사업을 벌일 수도 없어 망해가는 걸 눈뜨고 지켜봐야 하는 실정”이라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200여개에 달하는 울산지역 인쇄업체들 중 상당수가 ‘인쇄업은 주거ㆍ상업지역 등에서는 신규 등록이 불가능하다’는 건축법 시행령에 발이 묶여 심각한 경영타격을 겪고 있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 인쇄업체에 대한 신규 등록 규제는 인쇄업체가 폐수 배출업소라는 이유 때문이다. 현행 건축법에는 인쇄업신규 등록은 전용공업ㆍ준공업지역 등에서만 가능하도록 돼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 업체들은 첨단장비를 들여놓기 위해 기존 사업장을 증설하거나 인근에 새 사업장을 마련하고 싶지만 이 같은 규정에 묶여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곳에서 10년 넘게 일 해온 J모(49)씨는 “큰 장비를 새로 들여오려면 다른 공간을 임대해서라도 시설을 늘릴 수밖에 없는데 법규정상 도심에서 새로 등록할 수 없어 속수무책으로 낡은 장비를 쓰고 있을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그러다 보니 질 좋은 인쇄물을 만드는데 한계가 따르고 소비자들도 인근 부산이나 대구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수주물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한숨지었다. 30여개 업체가 밀집한 인쇄골목 내 업체 중 상당수가 인쇄물량이 떨어지면서 최근 몇 년 사이 폐업 업체도 늘어나고 있다. 또 다른 업체의 K모씨는 “도심에서 등록이 안된다고 홀로 외곽으로 나갈 수도 없다”며 “인쇄업 특성상 분업화돼 있는 기획, 인쇄, 제본 등이 한 곳에 모여 있어야 원활한 사업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혼자 공단지역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은 ‘사업을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울산지역 인쇄업체들은 상당수 자치단체에서 조성 중인 ‘인쇄출판단지’가 유일한 대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김대홍(47) 울산·경남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지부장은 “오·폐수 공동관리와 인쇄시설 장비 공동이용 등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려면 집적화 된 단지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조합측은 최근 조합원들의 뜻을 모아 ‘인쇄출판단지조성 당위성’ 등을 담은 건의서를 울산시에 제출하는 등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다음달에는 ‘울산 인쇄출판문화산업단지 조성 추진위원회’를 발족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신삼식(58) 조합 상무이사는 “대구시는 2012년까지 25만㎡ 규모 출판지식산업단지를 조성키로 최근 발표했고 대전시를 비롯한 여러 자치단체가 부지를 물색하고 있다”며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인쇄업 활성화와 울산의 환경이미지 강화를 위해 울산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