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대 초저금리시대가 열렸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기업과 개인의 경제활동에 많은 영향을 준다. 때마침 2008년 경기침체 이후 정부의 각종 부동산 부양책에도 떨어지던 부동산 시장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 이런 움직임에 맞추어 매매 가격의 70%에 육박하는 전셋값 부담에 지친 세입자들이 대출을 받아 집을 사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은 투자 측면이 아닌 주거의 개념으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대출을 받아 하는 부동산 매입은 100세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재산증식의 방법으로 채택하기에는 부동산 가격 하락 시 닥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과거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1970년대 이후 매년 꾸준히 상승했다. 이는 고성장에 따른 소득증가로 집을 사려는 수요가 많았고, 내 집 소유에 대한 강한 애착이 작용, 부동산 가격을 끌어올렸다. 하지만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면서 부동산 가격은 하락했다. 그러다 최근 심각한 전세난에 세입자들의 매매 전환수요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까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 부동산 중개사이트에 따르면, 2015년 3월 서울지역 전셋값은 한 주간 0.5% 포인트 올랐는데 이는 최근 3년 내 가장 가파른 상승이다.
그렇다면 저금리로 촉발된 부동산 구매가 노후 준비금 운용에 있어서 바람직한가? 반드시 그렇지 않다. 재화의 가격 결정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균형을 이루며 수시로 변동된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의 경우 인구구조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이미 세계 최하위권이며, 경제활동인구도 줄어들고 있다. 매수수요 자체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즉 공급대비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은 1%대의 저금리와 심각한 전세난이 만든 특이 상황이다. 이미 수도권 및 일부 대도시를 제외한 지방의 미분양 사태는 흔한 일이다. 부동산이 투자의 대상이 아니라 실수요자 위주의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무리하게 대출을 이용해 부동산을 매입한다면 부동산 가격 하락 시 대출금 상환에 대한 부담과 가격하락 만큼의 이중고(二重苦)에 빠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노후 자산 중에서 부동산이 73%(통계청, 2014년)로 이미 지나치게 높은 상황이다. 은퇴 이후 재산은 고작 집 한 채뿐, 실제 가용금이 부족한 사람들을 주변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런 금융자산의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상 소비 규모를 고려해 운용해야 한다. 가족 구성원의 숫자가 줄어들 경우 집의 크기를 줄이고 차액으로 개인연금 등 금융투자상품으로 운용하며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금융자산의 비율을 높여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절실하다.
금리 인하 이후 금융기관에는 중위험·중수익 상품 문의가 늘고 있다. 일시적인 상승으로 붐이 일고 있는 부동산투자 보다는 금융투자상품에서 재테크의 활로를 찾으려는 움직임이다. 1%대의 저금리는 '양날의 칼'이다. 저금리가 의미하는 경제상황을 바로 이해하고,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큰 그림에서 바라보자. 노후에 중요한 것은 묶여있는 부동산 자산이 아니라 유동성이 확보된 금융자산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