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AMF 내년 출범 무산될듯

한중일·아세안+3 재무회의 앞두고도 분담금 비율 합의못해

아시아권 금융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논의되고 있는 아시아판 국제통화기금, 이른바 아시아통화기금(AMF)의 내년 출범이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동아시아 공동 펀드의 총액에는 합의했지만 한ㆍ중ㆍ일 3국이 분담금 비율 합의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2일 기획재정부는 강만수 장관이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한ㆍ중ㆍ일 및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등에 참석하기 위해 3일 출국한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4일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한ㆍ중ㆍ일 재무장관회의에서 아시아판 금융안정포럼 창설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또 같은 날 ‘아세안+3’ 회의에서 동아시아 공동펀드 설립에 대해 협의하고 동아시아 채권시장 발전을 위한 새로운 추진 방향을 정하게 된다. 이에 대해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의 다자화 2단계 논의 과정에서 공동펀드의 전체 규모는 ‘800억달러+알파’로 하기로 했고 한ㆍ중ㆍ일과 아세안 국가 간 분담금 비율도 합의했다”며 “하지만 한ㆍ중ㆍ일의 부담금 가운데 이들 3개국 간 분담금 비율을 조정하는 데 실패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당초 목표이던 오는 2009년 AMF 출범이 무산되고 2010년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CMI 2단계는 아시아권 금융 협력을 위해 펀드 형태로 설립되는 AMF의 의사 결정 절차, 각국 분담금 규모, 지원조건 등을 논의하는 단계다. 내년 5월 한ㆍ중ㆍ일 재무장관회의 전까지 분담금 비율을 합의하더라도 CMI 3단계에서 1년 정도 실무협의를 거쳐야 한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사실 각국의 분담금 비율은 가장 예민한 문제”라며 “IMF도 이 문제에 가로막혀 논의부터 출범까지 10년 이상이 걸렸다”고 밝혀 AMF 출범이 2010년보다 더 늦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시아 지역 금융패권을 노리는 중국과 일본, 조정자 역할을 자임하는 한국도 지분율 1위 자리를 포기할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강 장관은 5일로 예정된 제41차 ADB 연차총회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아시아의 발전을 위해 회원국의 지속적인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ADB의 아시아 역내 인프라 건설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ADB 협조융자 계획 등도 발표한다. 7일에는 런던에서 150여명의 외국인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한국경제 설명회를 갖는다. 또 영국의 투자무역특사로 활동 중인 앤드루 왕자를 예방해 투자무역 확대 등에 대해 논의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