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동영 "남북 공동번영" 이명박 "민생경제 해결"

막오른 2007 대선 <평화대통령 VS 경제 대통령>



정동영 "남북 공동번영" 이명박 "민생경제 해결" 막오른 2007 대선 민병권 기자 newsroom@sed.co.kr 오는 12월19일 실시되는 제17대 대통령선거의 밑그림이 윤곽을 드러냄에 따라 각 당의 대권 레이스가 본격 시작됐다. 대선까지 앞으로 63일간의 대장정을 앞둔 정치권의 관심은 양대 축인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 대선후보 간 맞대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난 15일 범여권에서 가장 먼저 대선 본선 티켓을 거머쥔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와 그동안 외로운 독주를 펼쳐온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와의 양자대결구도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두 후보 간 경쟁 못지않게 아직 완성되지 않은 범여권의 후보 단일화도 막판으로 치닫고 있는 이번 대선의 주요 관전포인트다. 서울경제는 이번 대선에서 나타날 양자구도의 주역인 정동영·이명박 후보의 주요 정책이슈와 선거전략, 표심의 향방, 각 당안팎의 역학관계 등을 시리즈로 분석한다 올 연말 대통령선거가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와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 간의 양자 대결구로 압축된다면 두 사람을 가장 극명하게 나타내는 말은 ‘평화’와 ‘경제’일 것이다. 성공한 최고경영자(CEO) 출신의 이 후보가 민생경제 해결사를 자임하고 있는 가운데 통일부 장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을 지낸 정 후보는 남북 평화공동번영 등 통일정책에 방점을 두고 있다. 두 후보의 정책 지향점이 차별화되는 이유는 결집시켜야 할 지지층의 성향 차이 때문이다. 이 후보 지지층은 주로 ‘30ㆍ40대, 화이트칼라, 수도권’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들 계층은 수도권의 높은 집값과 사교육비ㆍ구직난 등 지난 수년 동안 지속된 경제적 불안 속에서 보다 안정적인 경제발전을 요구하는 욕구가 강하다. 따라서 이 후보로서는 경제문제에 초점을 맞춘 간판공약을 통해 중도보수 성향의 지지층을 묶는 전략을 구사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반면 정 후보의 지지층은 ‘고졸ㆍ블루칼라ㆍ호남권’이라는 특징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정 후보로서는 정책적 색채를 보다 개혁분야에 두고 여권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민주화 진영과 지역적으로는 호남 표심을 응집시키는 전략을 택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 간판정책은 기존의 햇볕정책을 계승 발전시킨 한반도 평화 정책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평화가 곧 경제’라는 정 후보 특유의 남북공동번영정책이 덧붙여져 대북정책이 일방적인‘퍼주기’라는 비난도 피하고 있다. 물론 이 후보도 대북정책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른바 ‘MB독트린’이라는 것으로 북한의 핵 포기가 이뤄질 경우 북한을 개방시켜 1인당 국민소득 3,000달러를 달성시키겠다는 것을 골자로 담고 있다. 그러나 이는 북핵 폐기를 남북 경제협력 확대의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햇볕정책 계승을 주장하는 정 후보와는 대비되며 보수적 유권자들의 표심을 반영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같은 남북화해정책이라도 강조점과 앞뒤가 다른 접근 방법이다. 정 후보의 경제정책도 이 때문에 이 후보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병역특례제도와 산업고를 연계시키는 정책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 육성에서 국가경제 회생의 답을 찾고 있다. 이는 블루칼라 계층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데에도 일조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이 후보는 국제과학비즈니스도시 건설 등을 내세우고 있어 이공계 등 화이트칼라 계층의 표심에 구애를 하고 있다. 선거 전문가들은 두 후보가 간판급 공약은 기존대로 유지해 이미 확보한 표심 관리에 나서면서 중도적 정책 경쟁을 통해 부동표 흡수와 양측 간 표심 빼앗기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입력시간 : 2007/10/16 17:5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