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14년부터 남아공 희토류 年 6000톤 확보"

정부가 희귀광물인 희토류 확보에 적극 나선다. 지식경제부는 이르면 올해 안에 남아프리카공화국 잔드콥스드리프트 희토류 탐사사업 본계약 체결을 통해 2014년부터 연간 2만톤 생산 시 6,000톤을 씩을 확보할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희토류는 희귀 광물의 하나로 화학적으로 안정되면서도 열을 잘 전달하는 성질을 같고 있어 전자제품이나 광학렌즈 등을 만들 때 쓰인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의 희토류 수요는 3,287톤이다. 지경부는 이날 희토류 확보 대책 회의를 열고 남아공 희토류 프로젝트에 생산물 지분 30%를 갖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경부는 호주, 베트남 등지에서도 유사한 신규 광산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또 베트남, 몽골, 에티오피아 등과 공동 탐사사업을 하기로 했다. 아울러 홍천, 충주 등 2개 지역에서 1차 초기 탐사를 한 결과 희토류 광체를 일부 확인했다며 2012년 정밀탐사와 2013년 매장량 평가를 통해 경제성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희토류 예상 부존량은 광석 기준으로 홍천 1,200톤, 충주 1,100만톤으로 광맥 내 사용 가능한 희토류는 평균 품위 0.6∼0.65% 짜리 14만톤 규모다. 지경부 관계자는 “지금 홍천, 충주 등지의 희토류 개발의 경제성을 판단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또 지경부는 전시 등 비상시 방출을 위한 희토류 비축량을 지금의 62톤에서 2014년까지 1,500톤으로 늘리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