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동대출로 자금난 극복·위험 줄이자”/리스 신디케이션대출 확산

서로 다른 리스사끼리 자금을 합해 대출하는 신디케이션 형식의 리스대출방식이 늘고 있다. 연이은 기업부도로 위험분산의 필요성이 증가한데다 외화부분 등에서의 자금부족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14일 금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까지만해도 대규모 리스계약때에만 이루어지던 리스사간 신디케이션 대출이 하반기들어서는 30억원 이상의 비교적 작은 규모에 이르기까지 확산되고 있다. 조흥리스가 최근 주간사로 참여, 중부리스와 공동으로 모 대형에너지회사와 50억원의 리스계약체결에 성공하는 등 후발 리스사간에 이같은 신디형식의 대출이 선호되고 있다. 특히 외화리스의 경우에는 리스사들의 외화자금 부족이 심각하기 때문에 신디방식의 대출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외화자금에 비교적 여유가 있는 모 선발리스사가 최근 후발사인 G리스사와 공동으로 통신업체인 A사에 대해 6백만달러의 외화리스 계약을 체결한 것이 대표적 예다. 지방소재 리스사의 영업담당자는 『적정 마진율만 확보된다면 신디형식의 대출이 기업부도에 따른 부실채권의 위험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즘과 같은 자금부족 시기를 이겨나가는데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김영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