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자재 수입단가 상승…교역조건 사상 최악

순상품교역조건 지수 7분기 연속 하락 77.7

수출품 단가는 오르지 않는데 반해 원유를 비롯한 수입 원자재 가격은 계속 상승하면서 교역조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1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나타내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3.4분기중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동향'에 따르면 3.4분기중 순상품교역조건지수(2000년=100)는 77.7로 전분기에 비해 2.3% 하락했으며작년 동기에 비해서는 7.4%나 떨어졌다. 한은은 3.4분기중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실은 12조6천억원으로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최근 발표한 바 있다. 순상품교역조건 지수는 작년 1.4분기 88.7에서 2.4분기 86.3, 3.4분기 83.9, 4.4분기 82.6, 올해 1.4분기 81.8, 2.4분기 79.5, 3.4분기에 77.7 등으로 7분기 연속악화일로를 나타내고 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수치로, 이 지수가 낮을수록 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은 줄어든다. 순상품교역조건이 이처럼 악화된 것은 수출품 단가가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 고유가 등으로 수입단가가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출단가지수는 3.4분기중 92.9를 나타내 전분기보다 오히려 0.1% 하락한 반면 수입단가지수는 119.6으로 2.2% 상승했다. 수출단가지수가 전분기보다 하락한 것은 2003년 2.4분기(-1.1%) 이후 처음이다. 한편 수출단가 하락속에 수출물량은 크게 늘어나 소득교역조건지수 139.4를 기록, 작년 동기에 비해 4.0% 늘었다. 1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나타내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와 달리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총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나타낸다. 소득교역조건 지수가 호전된 것은 수출물량 증가폭이 수입물량 증가를 웃돌았기 때문인데, 3.4분기중 수출물량지수는 179.4로 작년 동기대비 12.3% 증가했으며 수입물량지수는 138.3으로 9.9%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