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계 M&A방어는 토종대항마 육성이 최선"

외국 기업이나 펀드의 공격으로부터 국내 기업의 경영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외국계에 맞설 수 있는 사모투자펀드(PEF) 등의 '토종 대항마'를 키우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김형태 한국증권연구원 부원장은 3일 증권업협회에서 열린 국회 금융정책연구회세미나에서 'M&A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주장했다. 김 부원장은 "현재 국내 M&A 시장에서 외국계가 주도권을 행사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방어 수단의 부족보다는 공격 차원에서 외국계와 경쟁할 수 있는 M&A 주체가미미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칼 아이칸이 KT&G를 쉽게 보고 공격하는 것은 한편으로 기업의 수비력을 가볍게 본 점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공격 차원에서 경쟁자(competing bidder)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원장은 "국가기간산업의 경우에는 자의적으로 확대 지정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외국기업의 인수를 원천적으로 금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나머지 기업들에 대해서는 최대한 자유로운 M&A가 가능하도록 유도해야한다"며 "증권거래법과 같이 시장의 원리가 중시되는 법률에 외국인을 차별하는 등의 M&A를 저해하는 규정을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독약처방이나 차등의결권, 황금낙하산, 의무공개매수 등의 M&A 방어수단들은 자칫 비효율적인 경영진의 기득권을 보호하는 제도로 악용돼 주주의 이익을 침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기업가치와 주주이익을 근거로 한 합리적인 평가 기준에 따라 구분해서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부원장은 또 주식매수청구권제도와 관련 "M&A의 적정성과 타당성에 관계 없이 시장 가격에 따라 무차별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바람에 긍정적인 M&A조차 실패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고 전제한 뒤 "매수가격을 정할 때 시장 가격 외에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도 함께 고려해서 결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는 김용환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2국장을 비롯해 김화진율촌 법무법인 미국변호사, 정규재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정영태 상장회사협의회 전무, 정유신 굿모닝신한증권 부사장 등이 패널로 참가해 토론을 벌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