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경부 "쌍용차 직접 지원 아직 고려안해"

"대주주가 일차적 책임지고 유동성도 공급을"

정부가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쌍용자동차에 대한 직접적 지원을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쌍용차의 경우 대주주가 일차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동수 지식경제부 주력산업정책관은 29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만약 정부가 지원을 한다면 주거래은행인 산업은행이 회생 가능성을 보고 필요할 때 지원할 것”이라며 “아직까지는 그런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협력 부품업체들에 대해서는 자구노력과 함께 상생협력기금을 통한 지원, 나아가 업종전환이나 인수합병(M&A) 등을 지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우수한 기술을 갖춘 부품업체가 도산하지 않도록 정부가 신경을 쓰고 잉여인력에 대해서는 재훈련 등 고용유지를 위한 계획을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쌍용차의 대주주인 상하이자동차의 경영책임 문제에 대해 김 정책관은 “주인이 있는 회사는 일차적으로 대주주가 최대한 책임을 지는 게 당연하며 필요한 유동성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상하이차의 철수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생각이나 중국도 한국에서 얻을 것이 있다”면서 “어떤 형태로든 끌고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쌍용차가 파산할 가능성에에 대해 “극단적인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계속 세계시장이 위축된 상태에서 쌍용차가 경쟁력을 못 갖춘다면 그런 쪽도 생각을 해야 되지 않겠나”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