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軍의문사 타살 물증 발견

5공 당시 학생운동 참여자 유서 거짓 판명5공화국 당시 학생운동 참가자가 군복무중 사망,자살로 처리된 사건들중 자살 가능성을 낮추는 결정적 물증이 최초로 발견됐다. 8일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83년 군 복무중 의문사한 고려대생 김두황(당시 23살)씨의 유서라고 당시 군 수사당국이 발표한 필적이 김씨의 것이 아닌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김씨 사망사건을 다룬 군 헌병대는 김씨의 호주머니에서 김지하 시인의 '끝'이라는 시를 옮겨적은 편지지가 발견되자 이를 김씨가 작성한 유서라고 유족에게제시하고 김씨의 사인을 자살이라고 발표했다. 군은 '죽기 전에 기어이 결별의 글 한 줄은 써두고 가마'라는 시 구절과 편지지의 필적이 김씨와 동일하다는 당시 육군과학수사연구소(현 국방과학수사연구소)의필적 감정결과를 근거로 김씨가 군생활을 비관해 자살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유족들의 의문 제기로 조사에 나선 위원회는 지난달 하순 김씨의 학생운동 시절 한 동료로부터 '김씨에게 시를 적은 편지를 보낸 사실이 있다'는 진술을 확보, 국방과학수사연구소에 이 동료의 필적감정을 의뢰한 결과 문제의 편지 필체와동일하다는 결과를 통보받았다. 위원회 관계자는 "김씨가 이 편지를 썼다는 당시 감정결과가 군 당국에서 김씨의 죽음을 자살로 결론지은 유일한 근거"라고 밝혀 김씨가 자살했다는 과거 군 발표가 사실상 허위로 판명됐음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김씨의 타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사건상황에대한 정밀조사 등을 통해 김씨의 정확한 사인을 밝힐 방침이다. 김씨는 고려대 경제학과 4학년 재학중인 83년 학생운동과 관련해 강제 징집됐다가 그해 6월18일 육군 모 부대안에서 총상을 입고 머리 부분이 없는 시신으로 발견됐다.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