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가 급등세 500선 회복

美 증시 폭등 영향…코스닥 55선 돌파 미국 시장 호조에 힘입어 종합거래지수가 급등, 500선을 회복했다. 4일 거래소시장에서 종합주가지수는 지난주말에 비해 19.19포인트 오른 498.87로 출발한뒤 등락을 거듭하다 20.96포인트 치솟은 500.64를 기록했다. 지수가 500선을 넘어선 것은 미국 테러사태로 주가가 대폭락하기 이전인 지난달11일(540.57) 이후 14일만이다. 외국인은 960억원을 순매수, 지수상승을 이끌었고 개인도 427억원의 매수 우위를 보였다. 반면 기관은 선물지수에 비해 현물지수가 급등하면서 프로그램 매물이많아져 1천244억원을 순매도했다. 전업종이 오른 가운데 완성차업체의 수출호조를 재료로 운수장비업종이 10.10%폭등했고 철강금속(5.43%), 의료정밀(5.61%),비금속광물(5.42%), 기계(5.05%), 통신(5.12%),보험(5.75%) 업종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미국 수출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소식에 힘입어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 나란히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고 관련 부품주인 현대모비스도 9.50% 급등했다. 채권단의 신규지원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하이닉스반도체도 2억3천500만주의 거래량을 동반하며 7.90% 상승했다. 시가총액 `빅5'도 일제히 크게 올라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이 각각 3.92%와 7.21%,포항제철이 5.82%, 한국통신과 한국전력은 각각 2.36% 2.14% 올랐다. 오른종목이 상한가 34개를 포함 739개로 내린종목(86개)을 압도했고 26개 종목은 보합세였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5억3천873만주와 1조8천936억원이었다.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인하 등 미국의 경기부양의지가 확고한데다 테러보복전쟁이 국지전에 머물 가능성이 높아 당분간 미국증시가 안정세를 보일 것이며 이는 국내증시 안정의 발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황창중 LG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국시장이 정부의 경기부양책 등으로 당분간 현재수준을 유지할 경우 국내증시도 박스권 예상치가 기존의 450-500선에서 470-520선으로 한단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현기자 ■ 코스닥, 국내외 호재로 급등… 지수 55선 돌파 코스닥시장이 뉴욕증시의 반등세를 비롯한 국내외주요 재료에 힘입어 급등세를 실현하며 지수 55선을 돌파했다. 4일 코스닥시장에서는 종합지수가 지난 주말보다 3.44(6.66%)포인트 상승한 55.08로 마감됐다. 이날 시장은 뉴욕증시의 급등세의 여파로 개장과 함께 상승세로 출발한 뒤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다 오전장중 진념(陳稔) 부총리의 코스닥시장 전격 방문 소식이전해지면서 2차 급등세를 구현하며 결국 55선을 넘는 등 하루종일 강세를 유지했다. 거래규모도 늘어나 거래량은 3억1천699만주, 거래대금은 1조859억원을 기록했다. 시장을 주도한 개인투자자들은 244억원어치를 순매수했으며 외국인도 95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면서 매수세를 늘렸다. 기관은 281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전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벤처업은 8%이상 올랐고, 대부분의 업종도 4-7%의 오름폭을 나타냈다. KTF가 6.76%, 국민카드 3.66% 등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이 모두 상승하면서 장을주도했다. 새롬기술과 핸디소프트, 한글과컴퓨터가 상한가를, 다음이 9.35% 오르는등 닷컴주들도 초강세를 보였다. 특히 전자보안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고 인디시스템, 이네트 등 소프트웨어관련주를 포함해 6월 결산기업중 실적이 우량한 양지사 등도 큰폭으로 올랐다. 이날 주가가 오른 종목은 상한가 162개 등 641개나 됐으며 주가가 내린 종목은15개에 불과했다. 하한가 종목은 1개도 없었고 보합은 9개였다. 증시전문가들은 "추석연휴기간중 발표된 예상폭을 상회하는 미국 금리인하와 정부의 시장안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돼 급등세를 보였다"면서 "이런 흐름이 장기적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할 만큼 시장여건이 불투명한 상황"이라고말했다. 이에 따라 저항선을 염두에 둔 조정시 재료보유주나 실적호전주를 중심으로 한매수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이우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