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리스업계,한보여신 표류 “비상”/1조2천억

◎공익채권화 가능성 불투명 경영난 우려한보철강에 대한 리스업체의 여신이 공익채권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갈수록 불투명해지고 있다. 또 지난달부터 논란을 빚어왔던 리스채 인수수수료에 대해서도 국세청측이 사실상의 고지서를 일부 리스사들에 발급, 리스업계 전체가 초비상 상태에 들어섰다. 18일 리스업계에 따르면 리스사들은 한보에 대출해준 1조2천억원의 자금이 공익채권으로 분류되지 못한채 표류, 경영난에 봉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당진제철소 B지구의 열연 및 냉연설비의 공사재개를 위해 20여개 국내 리스업체들이 대출한 6백91억원이 공사진척도와 무관하게 공리스로 지원됐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공익채권 문제는 갈수록 안개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번 주장이 사실로 판명될 경우 리스업체가 「물건도 없이 리스자금을 대출해 줬다」는 가정이 서게돼 한보여신의 공익채권 분류 가능성은 희박해질 수 밖에 없다. 리스업계는 이에 대해 18일 공식성명을 내고 『한보에 대한 리스계약 물건은 모두 실존한다』며 공리스 주장은 사실과 다름을 분명히 했다. 리스업계는 또 이번 기회에 개발과 산업, 한일 등 5개리스사가 한보측에 대출해준 1조2천억원의 자금에 대해 채권관리단측이 시급히 공익채권으로 분류해줄 것으로 재차 촉구키로 했다. 리스업계 관계자는 『한보에 대한 리스업체의 여신에 대해 공익채권으로 분류하지 않을 경우 일부 리스사가 최악의 경영난에 봉착할 수 있다』며 채권관리단측에 조속한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개발과 산업 등 상당수 리스사들은 지난 3월말 결산 당시 한보에 대한 여신 부문을 사실상 공익채권으로 자체 인정, 이익에 환입시킨 바 있다. 한편 지난달초 이후 논란을 빚어왔던 리스채 인수수료에 대해 경인지방 국세청측이 이달초부터 외환과 주은, 경인 등 3개 리스사에 대해 고지서 이전에 발급하는 「결정전 조사결과 통지서」를 각각 내보내 리스업계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3개업체 관계자들은 6월말이면 세금소급시한이 만료돼 이들 3개사와 국세청측이 현재 과세자료를 내놓도록 종용중인 경인지역 5개 리스사에게만 일방적으로 91년분 세금을 내라는 것은 전혀 형평의 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김영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