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제작비 나눠먹기보다 '될성부른 나무'에 지원을"

서병호 케이블TV방송協 PP협의회 회장


"유료방송 콘텐츠의 장르별 균형발전을 위해 정책적ㆍ재정적 지원이 시급합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의회 산하 PP협의회를 맡고 있는 서병호(72) 회장은 20일 신규 종합편성 채널의 등장, 인터넷TV(IPTV),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과 같은 매체의 다양화 등 격변하는 미디어 시장에서 채널사용사업자(PP)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질적 수준 향상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재능교육 대표이기도 한 서 회장이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거듭 강조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시청자들이 찾는 콘텐츠를 만들어야 케이블TV사업자(SO)와 동등한 입장으로 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열악한 경영환경에 허덕이는 PP들이 많은 게 현실. 그는 "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은 많은 사람들이 말하지만 실제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력ㆍ재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며 "CJ미디어 등 자금력이 뒷받침되는 곳을 제외하면 우수한 콘텐츠를 갖출 여력이 있는 회사가 드물다"고 말했다. 방송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정부의 직접 지원 방법도 개선돼야 한다면서 그는 "콘텐츠 제작비용을 지원할 때 '나눠먹기식'보다는 '될 성부른 나무 키워주는 식'이 돼야 할 것"이라며 "집중적으로 투자해 성공 모델을 만드는 게 우선"이라고 권고했다. PP 업계의 수익구조 악화는 우후죽순 격으로 발생한 PP 업체들 간의 경쟁과 지나치게 낮게 책정된 수신료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말 PP 업계와 SO 업계가 수신료율 25% 책정에 합의하고 방송통신위원회는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올해부터 적용한다. 합의문이 당장 지켜질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서 회장은 "실제 합의사항이 작동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쌍방 간에 해석에 차이가 날 수 있는 대목이 있어 올해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광고수입 증대 사업을 펼쳐야 하는 것도 PP협의회의 과제 중 하나다. 그는 "PP 업계 수입의 80%가 광고에 의존하는 만큼 광고수입 증대가 올해 중대한 이슈 중 하나"라며 "가상ㆍ간접광고가 허용되지만 스포츠(가상광고), 드라마ㆍ영화(간접광고) 등 일부 장르에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며 "교육ㆍ애니메이션 등 상대적으로 광고 규제가 강화되는 채널의 지원책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 회장은 "광고 단가를 책정할 때 중요한 잣대가 되는 시청률 조사가 케이블TV 업계에 불리하다"며 "하루빨리 정부가 시청률검증위원회를 설립해 공정성을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